저자(한글) |
WANG, Yao-ping,BAI, Jun-hong,XIAO, Rong,GAO, Hai-feng,HUANG, Lai-bin,HUANG, Chen |
초록 |
황허 하구(Yellow River Estuary)의 Suaeda salsa 습지를 사례로 하고, 침수 및 비침수 수역의 습지 표층 토양 내 As, Cd, Cu, Cr, Pb, Zn 등 6가지 중금속의 오염 정도 및 토양-식물계에서 해당 중금속의 이동 및 축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침수 깊이와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연구지역의 토양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토양 혹은 퇴적물 질량 표준에 비해 황허 하구 Suaeda salsa 습지의 토양은 As와 Cd의 오염을 가장 심각하게 받았으며, 기타 중금속 오염은 비교적 미약하였다. 비침수 토양의 Cd, Cr, Za 함량은 침수 습지에 비해 높았으나 As, Cu, Pb는 낮았다. 침수 토양의 As 함량은 침수 깊이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 추세를 나타냈으나, 침수 깊이는 기타 중금속 함량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상관성 분석 결과, 토양의 영향을 받는 핵심 요소에 근거하여 중금속(As 제외)을 2가지 큰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첫 번째 유형은 Cd, Cr, Zn이었으며, 이러한 중금속 함량은 토양 pH값과 염분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았고, 상호간에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해당 중금속의 출처가 같다는 것을 설명한다. 두 번째 유형은 Pb, Cu였는데, 이는 토양 pH값, 염분과 유기질의 영향을 받았으며, Pb와 Cu 사이에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Cr, Cu, Zn을 제외한 중금속은 Suaeda salsa의 뿌리에 뚜렷하게 축적되지는 않았으나, Suaeda salsa 지상부의 중금속 함량은 뿌리에 비해 높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