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biquitination of Histones on Chromosomes and the Physiological Male Sterility Induced by Chemical Hybridizing Agent SQ-1 in Wheat (Triticum aestivum L.)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農業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
ISSN | 1674-7968, |
ISBN |
저자(한글) | SANG, Qing,LIU, Hongzhan,ZHANG, Gaisheng,ZHU, Qidi,ZHU, Wanwan,ZHANG, Longyu,CHE, Huixue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밀(Triticum aestivum L.) 잡종 우세 이용 및 웅성 불임 메커니즘의 연구는 다년간 줄곧 세계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적 난관이다. 밀의 생리적 웅성 불임과 히스톤 유비퀴틴의 관계를 연구하고 밀 생리적 웅성 불임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기초를 마련한다. 밀 품종 시눙(Xinong) 1376을 시험 재료로 화학 하이브리드 에이전트 SQ-1을 웅성 불임 유도체로 하여 먼저 가임과 불임 등 생리 시스템을 구축한 다음 양자의 히스톤을 추출하고 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하여 그 유비퀴틴화 수준을 연구하였다. 촉매 히스톤 H2B 유비퀴틴화의 E2 효소 유전자 RAD6의 cDNA 기능 시퀀스를 복제했고 또한 이것에 대하여 생물 정보학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동시에 실시간 형광정량 PCR 기술을 이용하여 RAD6 유전자의 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작은 꽃의 3개 발육 시기에 히스톤 H3의 유비퀴틴화 수정 수준은 가임 식물과 불임 식물 사이에서 현저한 차이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단핵기에서 히스톤 H2A의 유비퀴틴화 수정은 오직 가임 식물에서만 발생하였으나 불임 식물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히스톤 H2B의 유비퀴틴화 수준은 불임 식물에서 가임 식물보다 현저하게 낮았고 동시에 불임 식물에서 RAD6 유전자의 발현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러한 것은 모두 밀의 생리적 웅성 불임 낙태 임계기(단핵기)의 불임 식물에서 RAD6 유전자의 발현은 현저하게 감소된 동시에 그 촉매 히스톤 H2B 유비퀴틴 수준도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또한 히스톤 H2A은 유비퀴틴 수정이 없었으며 일부 핵심 유전자의 전사에 영향을 주어 밀의 낙태를 초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밀 히스톤 유비퀴틴 수준은 생리적 웅성 불임과 밀접히 연관되고 이는 밀의 생리적 불임 히스톤 유비퀴틴 제어 메커니즘을 위하여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여 밀 생리적 웅성 불임 메커니즘의 심층 연구를 위하여 튼튼한 외적 유전자 기본 자료를 제공하였음을 보여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39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Wheat,Chemical hybridizing agent SQ- 1,Western blot,Histone ubiquitination,RAD6,qRT-PCR,Bioinformatics,밀,웅성 불임 유기제 SQ-1,면역 블로팅,히스톤 유비퀴틴화,RAD6,형광 정량 PCR,생물 정보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