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tolerance to fresh water and growth traits for desalination culture in families of Pacific white 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熱帶海洋學報 = Journal of tropical oceanography
ISSN 1009-547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ANG, Hai-peng,HU, Chao-qun,ZHANG, Lv-ping,REN, Chun-hua,WANG, Yan-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모체의 유전 배경이 서로 다른 10가지 흰다리새우 가계에 대하여 담수 스트레스 실험과 담화 육종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담수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생존율과 담화 육종 과정에서의 다양한 성장형질 지표를 측정하고 흰다리새우 가계의 담수 내성과 담화 육종 과정에서의 성장형질 사이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10개의 흰다리새우 가계가 담수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생존율은 아주 뚜렷한 차이가 있는데(p DG-1(58%) gt; HX-2(56%) gt; SD-1(50.5%) gt; TF-2(38%) = DG-2(38%) gt; DF-1(35%) gt; SD-2(34%) gt; DF-2(33%) gt; HX-1(27%) 순이다. 2) 담화 육종 과정에서 10가지 흰다리새우 가계 사이의 담화 육종 과정에서의 생존율은 높은데로부터 낮은데로 순서대로 TF-1(51%) gt; SD-1(44%) gt; DG-1(40%) gt; TF-2(36%) gt; HX-2(29%) gt; SD-2 (25%) gt; DG-2 (20%) gt; DF-2 (17%) gt; DF-1(16%) gt; HX-1(13%) 순이며 아주 뚜렷한 차이가 있다(p -1 ), 특정 생장율(6.68)과 체장 증가율(0.53mm·d -1 )은 모두 기타 가계에 비해 높았으며 사료 계수(0.82)는 기타 가계에 비해 가장 낮았다. 4) 담수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생존율은 담화 육종 조건에서의 생존율, 체장 증가율과 아주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으며(r gt;0.8, p 연구 결과, 새끼 흰다리새우의 담수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생존율은 새끼 새우의 담수 내성을 반영하였으며, 담화 육종용 새끼 새우를 선택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가계 TF-1은 담수 내성이 더욱 강하고 생장이 더욱 빠른 새로운 품종을 선택 육종하는데 기초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51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itopenaeus vannamei,family,tolerance to fresh water,growth trait,흰다리새우,가계,담수 내성,성장형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