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GAO, Yuan-yuan,WANG, Zhi-guo,JIANG, Chang-qing,KONG, Ming,CHENG, Xiao-jie,WANG, Juan,BAO, Zi-xian,SUN, Guo-hui,HUANG, Yu-hua,LIN, Cheng-bing,YI, Hong-jun,CHEN, Xi-guang |
초록 |
본 논문은 10,11-메틸렌디옥시 캠토테신(10,11-methylenedioxy camptothecin, MD-CPT)을 함유한 히알루론산 나노에멀젼(HANs)을 연구제조하여 경피약물전달시스템으로 하였다. 이를 토대로, MD-CPT 탑재 히알루론산 나노에멀젼의 식세포 작용(phagocytosis)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였고 생체내 약물동태(pharmacokinetic)를 분석하였다. 제조 조건 최적화를 통해 피부 투과성이 양호한 서방성(sustained-release) 투약 제형을 획득하였다. CLSM을 통해 약물이 세포에 흡수되고 세포핵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약물탑재 나노에멀젼의 식세포 효율은 시간 의존적이었고 서로 다른 세포주 HSF, HUVES, MCF-7, KF의 식세포 효율은 조금씩 달랐다. Rhodanmine B로 HANs을 표기 후, 형광현미경 아래서 약물탑재 나노에멀젼이 각질층을 통과하여 진피층에 도달하는 동적 과정을 관찰하였다. HPLC를 사용하여 MD-CPT의 혈중농도를 측정한 결과, 경피약물전달의 반감기 T 1/2 는 정맥주사의 3.6배였고 근육주사의 1.6배로서 약물의 체내 체류시간은 뚜렷이 증가하였다. MD-CPT의 혈중농도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작았고 곡선은 완만하였는데 이로부터 경피약물전달은 제어가능하고 지속적인 혈중농도를 보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체 영상 시스템(vivo imaging system)과 조직절편 형광현미경 방법을 사용하여 경피약물 투여 후, 쥐 체내의 약물 분포 상황과 각 조직장기의 약물 함량을 직관적으로 구현하였다. 또한 약물탑재 나노에멀젼의 확산 방식은 주로 세포간 삼투 방식인 것을 확정하였다. 약물 투여 부위에서 약물의 체류시간은 길었는데 이는 표재성 병소에 대한 지속적인 약물 전달에 유리하였으며 약효를 연장시켰다. 나머지 MD-CPT와 해리(dissociation)된 HANs는 모두 혈액순환에 합류하였고 최종적으로 신진대사를 통해 체외로 배출되었다. 본 연구는 표재성 종양치료를 위한 비침습적 HANs 경피약물전달시스템 응용에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