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미국의 직업재활서비스 코드체계에 의한 직업재활센터의 종결 사례 분석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職業再活硏究
ISSN 1226-249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7-01-01
초록 이 연구는 미국의 재활서비스 코드체계에 의한 종결의 유형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그 종결의 유형에 따라 우리나라 직업재활센터의 서비스 종결 실태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크게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으로 구분되는 데, 사례분석은 우리나라 직업재활시설 중 경기도와 인천에 소재한 장애인복지관 내의 직업재활센터 2곳에서 200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직업재활서비스를 신청하거나 의뢰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182명과 144명이었다. 미국의 재활서비스국 데이터베이스인 RSA-911의 종결입력 기준에 따라 종결 실태를 대상자 확정 이전 종결(08), 대상자 확정 이후 대기상태 종결(38), IPE 서비스 이전 종결(30), IPE 서비스 이후 종결(28), 성공적 종결(26)로 구분하여 우리나라 직업재활센터의 종결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업재활센터 A에서는 대상자 확정이전 종결이 19.8%, 대상자 확정 이후 대기상태 종결이 4.4%, IPE 서비스 이전 종결이 20.3%, IPE 서비스 이후 종결이 20.9%, 성공적 종결이 19.2%, 미종결로 훈련 중인 경우가 15.4%였다. 직업재활센터 B에서의 종결 실태는 대상자 확정 이전 종결이 17.4%, 대상자 확정 이후 대기상태 종결이 10.4%, IPE 서비스 이전 종결이 14.6%, IPE 서비스 이후 종결이 37.5%, 성공적 종결이 20.1%였다. 따라서 직업재활센터 A, B 모두 성공적 종결의 비율은 20% 전후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우리나라 직업재활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34334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직업재활서비스 코드체계,종결,직업재활센터,status cod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case closure,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