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산림생태계 훼손 유형별 표토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ISSN 1229-385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산림생태계 훼손 유형별 표토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와 식재기반 조성 재료로서의 활용 여부를 평가하였다. 표토는 산림생태계 훼손 유형별 훼손지역 12개 지역, 36개 지점과 각 훼손지 주변에 위치한 자연지역 12개 지역, 36개 지점, 총 72개 지점에서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지역의 토성은 식양토~사양토, 용적밀도는 $0.95{ sim}1.10Mg/m^3$ , 고상률은 $35.7{ sim}44.0m^3/m^3$ , 공극률은 $56.0{ sim}64.3m^3/m^3$ , 내수성입단율은 8.4~35.8%, 토양경도는 5~13 mm, 토양산도는 5.3~6.1, 전기전도도는 0.14~0.65 dS/m, 전질소량은 0.28~0.42%, 양이온치환용량은 $14{ sim}22cmol^+/kg$ , 치환성칼륨함량은 $0.15{ sim}0.31cmol^+/kg$ , 치환성칼슘함량은 $2.07{ sim}2.84cmol^+/kg$ , 치환성마그네슘함량은 $0.45{ sim}1.97cmol^+/kg$ , 유효인산함량은 17~96 mg/kg, 유기물함량은 3.2~5.6%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훼손지역의 토성은 식양토~양질사토, 용적밀도는 $1.54{ sim}1.75Mg/m^3$ , 고상률은 $52.8{ sim}58.0m^3/m^3$ , 공극률은 $42.0{ sim}47.2m^3/m^3$ , 내수성입단율은 4.2~22.5%, 토양경도는 13~25 mm, 토양산도는 4.8~5.5, 전기전도도는 0.13~0.62 dS/m, 전질소량은 0.02~0.12%, 양이온치환용량은 $5{ sim}15cmol^+/kg$ , 치환성칼륨함량은 $0.11{ sim}0.18cmol^+/kg$ , 치환성칼슘함량은 $0.45{ sim}2.36cmol^+/kg$ , 치환성마그네슘함량은 $0.39{ sim}0.96cmol^+/kg$ , 유효인산함량은 15~257 mg/kg, 유기물함량은 0.4~2.2%의 범위를 나타냈다. 자연지역과 훼손지역 표토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를 통해 훼손지역 표토가 자연지역 표토에 비해 이화학적 특성이 악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향후 표토 재활용을 위한 보전 및 관리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0555599339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보전,관리,식재기반,재활용,토양개량,CONSERVATION,MANAGEMENT,PLANTING SOIL,RECYCLE,SOIL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