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atio-temporal change of inorganic nitrogen content and the evaluation of eutrophication in the surface seawaters of mangrove areas in Guangxi bay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海洋學學報 = Journal of applied oceanography
ISSN 2095-49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E, Ben-mao,WEI, Man-xin,FAN, Hang-qing,PAN, Liang-hao,CAO, Qing-xi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2007년 12월부터 2008년 11월 사이 광시 해만(bays in Guangxi)의 맹그로브 지역에 대한 4계절의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용존 무기질소(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의 시공간적 변화, 조성 특성 및 그것과 부영양화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해당 해만 지역의 용존 무기질소 함량은 비교적 높았으며, 연평균 질량 농도는 0.53mg/dm 3 에 달하였고, NO 3 -N 함량은 66.93% 차지하였으며 N가 주요하게 존재하는 형태였다. 롄저우만(Lianzhou Bay) 맹그로브 지역의 질량 농도는 가장 높았으며 1.15mg/dm 3 이었다. 그 다음으로 친저우만(Qinzhou Bay)이 높았고 0.41mg/dm 3 이었다. 톄산강만(Tieshangang Bay)과 진주만(Pearl Bay) 맹그로브 지역은 비교적 낮았으며 0.25mg/dm 3 이었다. 육성 입력(Terrestrial input)은 DIN 함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도적 제어 요소이고 생물 작용은 2차 요소이며 화학 작용이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작았다. 관련 분석 결과, 각종 형태 무기질소(NO 3 -N, NO 2 -N, NH 4 -N) 사이의 유사성은 주요하게 지표유출(runoff) 영향이 비교적 작은 바다지역과 계절에서 나타났으며, 지표유출 영향이 비교적 큰 바다지역과 계절에서의 유사성은 비교적 낮았는데, N 원천 경로가 광범위하고 복잡한 것과 관계가 있었다. 바다지역 수체는 뚜렷한 부영양화를 나타냈으나 바다지역과 계절의 다양한 변화가 커짐에 따라 지표유출 영향이 가장 큰 롄저우만 맹그로브 지역의 부영양화 지수(E)는 최고로 24.84에 달하였고 이미 높은 부영양화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나머지 바다지역은 1.52~1.74 사이에 있었다. DIN은 해당 바다지역의 부영양화가 형성한 중요한 영향 요소이며, DIP가 그 다음 요소이고, COD의 영향은 비교적 작았다. 이는 맹그로브 지역이 비교적 강한 수체 자체정화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주요하게 나타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3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arine chemistry,Guangxi bays,mangrove areas,inorganic nitrogen,spatio-temporal change,eutrophication,해양화학,광시 해만,맹그로브 지역,무기질소,시공간적 변화,부영양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