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Fungal community in Zhanjiang Bay of South China and its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菌物學報 = Mycosystema
ISSN 1672-64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Yue-lian,ZHANG, Yu-bin,LIN, Qiao-ling,HU, Han-qiao,WANG, Ji-hua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2010년 1월 9일 광둥 잔장만에서 수집한 해수 샘플 중 진균의 분리 배양과 감정을 통해 C. sphaerospermum, C. cladosporioides, C. colocasiae, C. tenuissimum, C. oxysporum, C. perangustum, C. uredinicola 등을 포함한 클라도스포리움(Cladosporium)이 제1우점속으로 확인되었다; 제2우점속으로는 P. verruculosum, P. griseofulvum, P. sclerotiorum, P. pinophilum, P. aculeatum, P. simplicissimum 등 6종을 포함한 푸른곰팡이(Penicillium)이었다; 제3우점속은 ngyodontium으로 확인되었는데, Engyodontiumalbum (Limber) de Hoog 1개 종 밖에 없었다; 제4우점속으로는 A. terreus Thom, A. aculeatusIizuka, A. flavus Link, A.fumigatus Fresen 등 4개 종을 포함한 Aspergillus로 확인되었다. 진균 종류의 우점도로부터 볼 때, C. sphaerospermum Penzig이 해당 해역의 제1우점종(7.97%), Engyodontiumalbum (Limber) de Hoog이 제2우점종(3.60%), C. cladosporioides (Fresen.) de Vries이 제3우점종(3.29%), P. verruculosum Peyronel이 제4우점종(3.04%)이었다. 감정 결과, C. perangustumBensch, Crous U. Braun가 중국의 신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균주 수량과 물리 화학적 인자(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간 상관성(correlation) 분석을 통해, 19개 위치의 표층 진균 수량이 무기인 및 규산염과 뚜렷한 정(+)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P 해저층의 진균 수량이 현탁물과 뚜렷한 정(+) 상관성이 있고(P 해수 온도, 기름때 및 해수 깊이와 진균 수량 간 상관성은 뚜렷하지 않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26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arine fungi,physical and chemical factors,correlation,해양 진균,물리 화학적 인자,상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