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Yue-lian,ZHANG, Yu-bin,LIN, Qiao-ling,HU, Han-qiao,WANG, Ji-huai |
초록 |
2010년 1월 9일 광둥 잔장만에서 수집한 해수 샘플 중 진균의 분리 배양과 감정을 통해 C. sphaerospermum, C. cladosporioides, C. colocasiae, C. tenuissimum, C. oxysporum, C. perangustum, C. uredinicola 등을 포함한 클라도스포리움(Cladosporium)이 제1우점속으로 확인되었다; 제2우점속으로는 P. verruculosum, P. griseofulvum, P. sclerotiorum, P. pinophilum, P. aculeatum, P. simplicissimum 등 6종을 포함한 푸른곰팡이(Penicillium)이었다; 제3우점속은 ngyodontium으로 확인되었는데, Engyodontiumalbum (Limber) de Hoog 1개 종 밖에 없었다; 제4우점속으로는 A. terreus Thom, A. aculeatusIizuka, A. flavus Link, A.fumigatus Fresen 등 4개 종을 포함한 Aspergillus로 확인되었다. 진균 종류의 우점도로부터 볼 때, C. sphaerospermum Penzig이 해당 해역의 제1우점종(7.97%), Engyodontiumalbum (Limber) de Hoog이 제2우점종(3.60%), C. cladosporioides (Fresen.) de Vries이 제3우점종(3.29%), P. verruculosum Peyronel이 제4우점종(3.04%)이었다. 감정 결과, C. perangustumBensch, Crous U. Braun가 중국의 신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균주 수량과 물리 화학적 인자(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간 상관성(correlation) 분석을 통해, 19개 위치의 표층 진균 수량이 무기인 및 규산염과 뚜렷한 정(+)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P 해저층의 진균 수량이 현탁물과 뚜렷한 정(+) 상관성이 있고(P 해수 온도, 기름때 및 해수 깊이와 진균 수량 간 상관성은 뚜렷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