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현무암에 포획된 페리도타이트에 산출되는 맨틀 기원의 CO2-유체포유물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ISSN | 1226-2471, |
ISBN |
저자(한글) | 서민영,우용훈,박근영,김은주,임현수,양경희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제주도 현무암에 산출되는 첨정석 페리도타이트 포획암에 $CO_2$ -유체포유물이 포획되어 있다. 이 $CO_2$ -유체포유물들은 규칙적인 결정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세립의 네오블라스트 결정에는 일차포유물로, 조립의 반상쇄성에는 이차포유물로 산출된다. 냉각/가열 실험에서 $CO_2$ -유체포유물의 삼중점은 $-57.1^{ circ}C$ ( ${ pm}0.9^{ circ}C$ )로서 대체로 균질하다. 이는 이 $CO_2$ -유체포유물들이 거의 순수하게 $CO_2$ 로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균질화 온도는 $-39^{ circ}C$ ( ${ rho}=1.12g/cm^{3)}$ )에서 $23^{ circ}C$ ( ${ rho}=0.82g/cm^{3)}$ )로 넓은 범위에 걸쳐 나타나며, 이는 많은 유체포유물이 포획된 이후 재평형 되어졌음을 반영한다. 일차/이차포유물과 균질화온도 사이에 체계적인 차이는 없다. 가장 낮은 균질화온도(즉, 가장 높은 밀도)를 보이는 유체포유물에서 계산된 포획 압력은 ${ approx}0.9GPa$ 이다. 제주 페리도타이트와 $CO_2$ -유체포유물의 조직적 특성과 낮은 균질화 온도는 $CO_2$ -유체가 맨틀기원의 유체로서 상부 맨틀암석권에서 페리도타이트의 재결정화 작용 동안 존재하던 유체로 해석된다. $CO_2$ -유체의 포획은 제주 페리도타이트의 진화과정에서 후기의 사건이며, 상부맨틀 암석권의 상부(천부)에서 일어났음을 지시하고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246113263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제주도,첨정석 페리도타이트 포획암, lt,TEX gt,$CO_2$ lt,/TEX gt,-유체포유물,상부맨틀암석권유체,재평형,Jeju Island,pinel peridotite xenoliths, lt,TEX gt,$CO_2$ lt,/TEX gt,-rich fluid inclusions,shallows lithospheric mantle fluid,re-equilib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