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미세균열의 간격 분포를 이용한 결의 평가(I)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ISSN 1226-247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6-01-01
초록 거창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 내재하는 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미세균열의 간격에 대한 분포상은 박편의 확대사진( ${ times}6.7$ )에서 도출하였다. 여섯 방향의 결에 대한 평가는 (1) 미세균열의 간격의 빈도수(N), (2) 총 간격의 빈도수(N:191) 대비 빈도율( ${ leq}1mm$ 및 4 mm gt;), (3) 총 간격(118.49 mm) 대비 간격율( ${ leq}1mm$ ), (4) 평균 간격( $S_{mean}$ ), (5) 평균 간격과 중앙 간격( $S_{median}$ ) 사이의 차이값( $S_{mean}-S_{median}$ ), (6) 간격의 밀도, (7) 중앙 간격, (8) 길이의 빈도수 대비 간격의 빈도수의 감소비율 및 (9) 도표의 분포형과 관련된 지수( ${ lambda}$ and b)의 크기와 같은 9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특히 상기 간격의 파라미터 그리고 간격-누적빈도 도표에서 도출한 파라미터 사이의 밀접한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3개 결 그리고 3개 면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 사이의 상관성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파라미터(1, 2 및 3), (II) 파라미터(4, 5 및 6), (III) 파라미터(7), (IV) 파라미터(8) 및 (V) 파라미터(9)의 값은 H(3번 결, H1+H2) $S_{mean}-S_{median}$ )의 값이 증가하는 순으로 배열하였다. 이들 도표들은 관계도에서 R2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246113262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쥬라기 화강암,결,미세균열의 간격,9개 파라미터,상관성 분석,역순,간격-누적빈도 도표,배열 순서,Jurassic granite,rock cleavage,microcrack spacing,nine parameters,correlation analysis,reverse orders,spacing-cumulative frequency diagrams,order of arran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