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김연주,이창현,백우현,김나영,박영수,정숙향,황진혁,이광혁,정현채,송인성,김형호,이혜승,이동호 |
초록 |
목적 : 위암은 국내에서 발생률이나 사망률로 볼 때 가장 중요한 암 가운데 하나이다. 빠르게 증가하는 국내 노인 인구를 감안할 때 노년층에서의 위암 발생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노년층 위암의 임상, 내시경, 조직 특성, 수술과 관련한 회복기간과 합병증률을 분석함으로써 노인 위암의 진단, 치료 방법 결정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 2003년 5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위암으로 진단된 환자 중 수술을 받은 2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환자들을 연령에 따라 65세 미만의 장년층과 65세 이상의 노년층으로 구분하여 두 군에 대해 성별, 가족력, 증상, 암의 위치 및 형태, 병기, 병리를 비교하였으며 수술과 관련하여 ASA 위험도, 수술 후 합병증, 회복기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 두 군 간 성별, 증상 유무, 가족력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전 노년층에서 ASA 고위험 군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술 후 회복기간은 장년층에서 평균 10.11일, 노년층에서 11.58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374).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은 양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양 군에서 조기위암과 진행성 위암의 차이, 병기에서 차이는 없었다. WHO 분류에서 장년층은 저분화암(41.2%), signet ring cell (20.1%), 노년층에서 고분화암(27.4%)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