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echanism of antagonistic bacteria Pseudomonas putida 1A00316 from the South Pole soil against Meloidogyne incongnit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TANG, Jia-pin,SHAO, Zong-ze,ZHANG, Zhi-tao,LI, Guang-yu,JING, Xue-ping,YU, Zi-niu,ZHANG, Ji-b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해양과 극지에서 근원된 1,432주 세균에 대해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에 저항하는 체외 선별을 진행하였으며, 그중 활성이 비교적 양호한 1주 균에 대해 균종 감정을 진행하고 또 분재 실험을 통하여 실제 생물학적 방제에서 효과를 검증하였다. 유도 전신 저항성(induced systemic resistance) 실험을 설계하여, 식물 방어 효소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세균의 내충성(곤충에 대한 저항성) 메커니즘을 초기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432주 세균에 대한 체외 선별로부터 고구마뿌리혹선충에 저항하는 9주의 세균을 얻었는데, 그중 남극 토양으로부터 근원된 균주 1A00316은 체외와 활체에서 비교적 양호한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그 생물학적 방제 효과는 71.67%에 달하였다. 감정 결과, 해당 균주는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였다. 토마토에 대한 유도 전신 저항성 실험 결과, 균주 1A00316을 거친 발효액 처리 후의 토마토 3가지 방어효소 phenylalnine ammonialyase(PAL), 폴리페놀 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 PPO) 및 과산화물효소(POD)의 효소 활성은 뚜렷하게 향상하였으며, 분석 데이터로부터 해당 균주의 균체는 토마토 전신 저항성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슈도모나스 푸티다 1A00316은 고구마뿌리혹선충 저항 효과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미생물제제로 되어 실제 생물학적 방제에 응용될 수 있었다. 해당 균은 직접적인 내충성 작용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내충성 메커니즘이 존재하며 다중 내충성 메커니즘도 더한층의 연구 가치를 갖고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30616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eloidogyne incognita,Pseudomonas putida,South Pole soil,biological control,induced systemic resistance,고구마뿌리혹선충,슈도모나스 푸티다,남극 토양,생물학적 방제,유도 전신 저항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