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alysis on the Variation of Arctic Sea Ice Using Satellite Dat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技術學報 = Journal of ocean technology
ISSN 1003-202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ENG, Jia-ying,GUAN, Lei,WU, Fan,WANG, Hong-y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해빙(sea ice)은 극지 기후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다. 1982-2004년의 위성 반사율(albedo), 해빙 밀집도(sea ice concentration)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7개 북극 해역[각각 그린란드 해(Greenland Sea), 바렌츠해(Barents Sea), 카라해(Kara Sea), 랍테프해(Laptev Sea), 동시베리아해(East Siberian Sea)와 그 북쪽 해역, 추크치해(Chukchi Sea)와 그 북쪽 해역, 보퍼트 해(Beaufort Sea)와 그 북쪽 해역]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두 데이터 지역의 평균 서열 상관성은 비교적 높았으며, 최저 상관계수는 0.51이고 최고 상관계수는 0.94였다. 그린란드 해 해역과 바렌츠해 해역의 여름철 해표면 반사율, 해빙 밀집도는 비교적 낮았으며, 대부분 얼음이 없는 해수면이었다. 카라해 해역, 랍테프해 해역, 동시베리아해와 그 북쪽 해역의 6월 해표면 반사율, 해빙 밀집도는 비교적 높았으며, 7, 8월 해빙은 빠른 속도로 융화하였고 해빙 밀집도는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추크치해와 그 북쪽 해역, 보퍼트 해와 그 북쪽 해역의 여름철 해표면 반사율, 해빙 밀집도는 비교적 높았다. 7개 해역의 해표면 반사율, 해빙 밀집도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서부의 추크치해와 그 북쪽 해역, 보퍼트 해와 그 북쪽 해역의 감소 속도는 가장 빨랐고, 바렌츠해 해역의 감소 속도는 가장 느렸다. 해표면 반사율과 총 해빙량의 감소는 기후 진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4957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ea ice,Arctic,albedo,sea ice concentration,해빙,북극,반사율,해빙 밀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