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atistic and variability of cyclones in arctic in 1979-2012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預報 = Marine Forecasts
ISSN 1003-023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QIN, Ting,WEI, Li-xin,SUN, Hu-l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저기압 자동 추적 방안을 기반으로 하고 ERA-Interim의 하루 4번(6시간에 한 번씩) 평균 해수면 기압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1979~2012년의 34년 동안에 65°N 이남에서 형성되고 북쪽으로 이동하여 극권(polar circle)에 들어간 저기압의 시공간적 특징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이런 저기압의 수량과 강도는 분명한 계절 변화가 있는데, 봄철과 여름철에는 많지만 강도가 약하며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적지만 강도가 강한 특징을 나타냈다. (2) 저기압의 연간 총수는 감소세로 나타났다. (3) 극지에 들어간 저기압의 주요 발원지는 북대서양의 한쪽이었으며 북쪽에서 시작하여 극지에 들어간 핵심 지역은 그린란드(Greenland) 동쪽에 있는 덴마크 해협(Denmark Strait) 및 아이슬란드(Iceland) 동쪽 해역(60°~30°W)이었다. 저기압은 위 해역에서 일 년 내내 항상 활약하였다. (4) 이런 저기압은 주로 50°~65°N 지역에서 형성되는데 중위도에서 형성되어 먼 길을 따라 극지에 들어간 것도 있었다. (5) 이런 저기압이 육지에서 형성된 비율은 해양에서보다 높았으며 특히 여름철에 더 높았다. 겨울철에는 저기압의 해양 발원지가 상대적으로 활발해지고 저기압의 형성 비율은 육지의 형성 비율에 접근하며 거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12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rctic,extra-tropical cyclones,automated cyclone detection and tracking algorithm,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북극,65°N 통과,온대 저기압,저기압 자동 추적,시공간적 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