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xiolytic Effects of Quercetin: Involvement of GABAergic System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ISSN 1225-9918,2287-340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ung, Ji Wook,Lee, Seungheo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mice를 이용하여 elevated plus-maze (EPM) test와 hole-board test를 통해 quercetin의 잠재적인 항불안 작용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Quercetin을 1.25, 2.5, 5나 10 mg/kg의 용량으로 각각 행동시험을 측정하기 1 시간 전에 ICR mice에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동일한 양의 10% Tween 80을 투여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buspirone 2 mg/kg을 투여하였다. Quercetin을 단회 투여하여 EPM test를 실시한 결과, 5 mg/kg 용량에서 open arm에 머문 시간 및 진입한 횟수의 백분율이 control group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 $GABA_A$ antagonist), WAY-100635 ( $GABA_{A-{ rho}}$ antagonist) 또는 trans-4-aminocrotonic acid ( $GABA_{A-{ rho}}$ agonist)를 병용투여하여 elevated plus-maze를 실험을 하여 신경계와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trans-4-aminocrotonic acid에서만 quercetin의 항불안 작용이 차단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서 quercetin이 elevated plus-maze 및 hole-board test, horizontal wire test, open field test를 통하여 locomotor activity 및 근육이완이나 진정 등의 부작용이 없으면서 우수한 항불안 작용을 가지는 소재라고 생각되며 이러한 작용이 특히 GABA 신경계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41283585734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nxiety, lt,TEX gt,$GABA_{A-{ rho}}$ lt,/TEX gt,. mice,quercetin,trans-4-aminocrotonic a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