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position self-calibration of high-accuracy inertial platform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中國慣性技術學報 = Journal of Chinese Society of Inertial Technology |
ISSN | 1005-6734, |
ISBN |
저자(한글) | MENG, Wei-feng,YUAN, Ai-hong,JIA, Tian-long,JIANG, Yi-fu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관성 플랫폼 시스템의 다중 위치 자가보정 오차계수 개수가 적은 현황에 비추어 플랫폼 16위치 자가보정 방안을 제안하였다. 관성 플랫폼 시스템의 관성장치 출력 오차 모델과 관성장치 설치 오차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51개 항목의 오차 매개변수를 포함한 플랫폼 시스템 오차 모델을 도출하였다. 방정식의 최소제곱해 이론과 결합하여 플랫폼 다중 위치 자가보정 시스템에 적합한 관측 가능성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플랫폼 다중 위치 자가보정 시스템의 최적화 지표를 제시하였다. 본 지표에 근거하고 플랫폼 정보 행렬의 특성을 결합하여 최적 위치 통합 수치 검색 알고리즘을 얻었고 16위치 자가보정 방안을 획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16위치 자가보정 방안은 플랫폼 시스템의 전부 51개 항목 오차 매개변수를 고정밀도 추정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가장 적은 위치를 이용하여 가장 많은 플랫폼 오차 매개변수를 고정밀도 식별하는 것은 실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18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inertial platform,self-calibration,least-square,optimal position,관성 플랫폼,자가보정,최소제곱,최적 위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