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NMR Spectroscopy를 이용한 Flavonoid의 성분 분석과 그 실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약학회지
ISSN 0377-955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2-01-01
초록 인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끊임 없는 시도는 지금까지 질병에 유효한 많은 약물을 개발하여 왔으나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질병도 다양해비고 또 새로운 형태의 질병이 끊임없이 우리 인간에 도전하고 있으므로 인류가 생존하기 위한 끊임없는 응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런 의미에서 천연물에서의 새로운 약물의 개발과 이들 약물의 과학적 품질관리는 고래로부터 한약을 사용해 오고 있는 현 우리나라의 실저에서는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분석적인 방법을 통한 화합물의 분리및 그 구조해석이 필수적이라고 사료된다. 이들 화합물의 구조해석은 고전적인 화학적 방법에서 최근에는 제반 기기의 발달과 더불어 spectroscopic method에 의한 즉 mass, NMR, IR, UV등의 data를 종합하고 여기에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이 가운데서도 NMR spectroscopy를 이용한 구조해석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절대적이라고 사료된다. 특히 flavonid는 식물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그 flavonoid가 갖는 구조적 특이성, 즉 pyrone환 자체의 산소, C=O기 및 phenol성 OH에 기인한 생체내에서의 강한 친화력에 의한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으며, 1975년 문헌에 biological activity를 갖고 있다고 보고된 화합물 326가지 중에서 6%를 점유하며 flavonoid와 류사구조를 갖는 phenol성 물질까지 합하면 1/3을 점유하고 있는 사시로도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flavonoid의 NMR spectroscopy를 이용한 구조분석은 이와 유사 phenol성 물질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글에 인용된 data는 주로 피마자 및 산조인에서 분리한 flavonoid를 중심으로 NMR을 이용한 구조분석과 이때 야기되는 여러가지 실제 문제에 대하여 기술코자한다.NAA 혹은 2,4-D 0.1ppm을 첨가한 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었다.이것은 수분흡수 시험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대두 종자의 삼투압은 건조상태에서 발아능력을 추정하는 하나의 지표가 되리라 생각한다. 약관씩 다르게 나타났지만 대체로 blast nursery 성적과는 반응이 비슷하였다. 6. 정도 저항성 및 이병성으로 나타난 lsquo;Kanto 51 rsquo;, lsquo;Yashiromochi rsquo;, lsquo;Ishikari-shiroke rsquo; 등의 품종들에서는 접확후 병반형 및 병반수의 변이가 매우 심하였다. 급성형(이병성, PG형) 병반을 많이 형성하는 품종들( lsquo;애지욱 rsquo;, lsquo;Caloro rsquo;, lsquo;Norin 6 rsquo; 등)은 고도의 이병성이었고 저항성 품종들은 대개 병반이 없거나 저항성 병반(hypersensitivity 반응, b 혹은 bg 형)을 나타내었다.. 발뢰까지는 수확기를 지연시킬 수록 건엽수량은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발뢰 이후에는 수확기를 지연시켜도 수량 차이는 인정되지 않는다. Stevioside 함량은 발뢰기에 가장 높았고 이보다 빠르거나 늦게 수확할 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엽수량과 Stevioside 함량을 고려한 수확적기는 발뢰시부터 개화전까지이고 수원 지방에서는 9월 10일 #65374;9월 15일경이었다. 11. 영양계의 Stevioside와 Rebaudioside 함량범위는 각각 5.4 #65374;l4.3%, 1.5 #65374;8.3%로 변이폭이 크며 Stevioside와 Rebaudioside 함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저온처리에 의한 임실장해정도와 출수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임실장해정도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또한 저온에 의하여 이삭 추출도가 낮거나 간장단축율이 큰 품종은 임실율도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10. 냉수처리에 의한 임실장해는 감수분열기처리(엽이간장-15 #65374;10cm)에서 가장 크고 품종별로는 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21191946589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