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Yi,SUN, Li-guang,LUO, Yu-han,SUN, Song,WANG, Yu-hong |
초록 |
남중국해(South China Sea) 시사(Xisha)군도 둥다오(Dongdao Island) 섬에 위치한 '니에탕 못(Nietang Pond)'의 퇴적물 코어(DY6)에 대한 원소 분석, 입도 분석, 현미경영상 분석,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전계방출 스펙트럼 분석이 수행되었다. 원소 분석 결과, 퇴적물 코어에 함유된 Ti 및 Al 원소의 량은 3개의 주요 퇴적물질(산호 모래, 바다새 배설물, 식물)에 함유된 량 보다 많았다. 이는 외래성 퇴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Ti 및 Al 함량이 높은 퇴적층서에는 산성물질에 의한 분해가 어려운 분진 알갱이가 많았다. 이런 알갱이는 봄철에 허페이(Hefei) 지역에서 채집한 북방 풍성분진 알갱이와 비슷하였고 알갱이 크기는 비교적 작은 편이였다. 뿐만 아니라, 계절풍에 의해 조선반도 또는 남중국해 북부 해역에 운반된 풍성분진 알갱이와도 흡사하였다. X-선 스펙트럼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분진 알갱이의 화학성분은 주로 규산염이거나 석영이었다. 아마, 동아시아 계절풍이 아시아대륙에서 운반해온 알갱이일 가능성이 크다. 퇴적물에서의 Ti 및 Al 함량 변화는 과거 남중국해 중부 및 북부 해역 육지성 분진 알갱이의 퇴적 플럭스를 반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