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daptability of Dengue-Ⅱ Virus D01090 Strain in KMB17 Cells and Its Preliminary Identificat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工程雜誌 = Journal of Chinese biotechnology
ISSN 1671-813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O, Yu-jiao,PAN, Yue,YAN, Ling-mei,YUE, Yao-fei,YANG, Li-juan,SUN, Qiang-m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목적 : 사람의 태아폐인 2배체세포 KMB17에서 안정하게 증폭하는 Ⅱ형 뎅기열바이러스 적응 주(strain)를 선발함으로 인간유래성 세포를 기질로 하는 뎅기열 백신의 후보 주(strain) 연구개발을 위해 기초를 마련해 주는 것이다. 기법 : Ⅱ형 뎅기열바이러스 중국 주 D01090를 바이러스 게놈에서 추출한다. 다음 RT-PCR법으로 뎅기열바이러스를 검증후 C6/36과 Vero 세포에서 바이러스 증폭 및 적정법을 진행한다. D01090 바이러스 주를 4.0MOI로 KMB17 세포를 접종하고 또한 바이러스가 세포내에서의 증폭이 완전히 적을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계대배양 한다. 이를 10대까지 계대배양 하여 양호한 KMB17 세포 적응 주를 선발한다. 바이러스 배양액은 사탕수수 구배(gradient) 원심분리와 초원심분리를 거쳐 고농도의 바이러스액을 획득한다. KMB17 세포 접종후 투과전자현미경 초박절편으로 세포의 병리학적 변화를 검측한다. 다음 세차례의 플라크 순화(plaque assay)를 거쳐 순화 바이러스주를 선별하고 면역형광법으로 바이러스 순화주의 항원성을 검측한다. 결과 : Ⅱ형 뎅기열바이러스 중국주 D01090 게놈을 템플릿으로 하면 511bp의 뎅기열바이러스 특이유전자와 119bp의 Ⅱ형 뎅기열바이러스형 특이성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C6/36 세포증폭 후 적정농도는 4.5CCID50/ml에 이른다. 감염한 KMB17 세포가 제3대에 이르면 선명한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 CPE)가 나타난다. 연속적으로 10대까지 이르면 세포변성 효과의 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10대에서 증폭 최고봉에 이르는데 바이러스 적정농도는 5.0CCID 50 /ml이다. 바이러스 감염 6일 후 변성효과가 +++에 이른 KMB17 세포에 대해 초박절편을 한 다음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세포의 병리변화를 관찰한다. 현미경으로 소포체에서 새로 조합한 바이러스 과립을 관찰할 수 있는데 세포 주위에는 분열한 작은 조각들이 많이 생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포에서 분리한 바이러스도 있다. 세차례의 플라크 순화 후 순화 클로닝을 선별하였고 면역형광법으로 검측한 바이러스의 항원성은 양성이다. 결론 : 안정하게 계대배양을 할 수 있고 또한 바이러스 증폭량이 높은 Ⅱ형 뎅기열바이러스 KMB17 세포 적응주를 선발하였고 플라크 순화를 거친후에도 항원성을 유지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599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engue virus,Human embryonic lung diploid cells,Plaque purification,Biological characteristics,뎅기열바이러스,사람 태아 폐 2배체세포,플라크 순화,생물학적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