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Xiao-lin,JIN, Xin,LI, Qiang,XIONG, Chuan,ZHENG, Lin-yong |
초록 |
쓰촨(Sichuan) 시짱 지역(Tibetan region)과 판시 지역(Panxi region)의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주요 생산지역의 시로(shiroes) 토양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시로 토양 세균, 방선균과 진균의 균락 수, 토양 미생물의 바이오매스 탄소와 질소, 토양 산성 포스파타아제(acid phosphatase), 우레아제와 과산화수소효소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다변량 회귀나무를 이용하여 생태환경 인자가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발 높이가 3,592 m보다 높을 때, 일정한 범위내에서 해발(3,841~3,860 m)이 높을수록 토양 효소 활성은 더 높았다. 해발이 3,592 m보다 낮을 때, 낙엽층 두께(2.25~8.45 cm)가 두껍고 해발(3,058~3,226 m)이 낮을수록 토양 효소 활성은 더 높았다. 경사도가 42.5°보다 크거나 같을 때, 일정한 범위내에서 낙엽층 두께(1.05~8.45 cm)가 두껍고 해발(3,058~3,225 m)이 낮을수록 송이버섯 시로 미생물 바이오매스 및 균락 수는 더 높았다. 경사도가 42.5°보다 작을 때, 일정한 범위내에서 해발(3,058~3,460 m)이 낮고 낙엽층 두께(0.28~3.2 cm)가 얇을수록 송이버섯 시로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와 균락 수 축적에 더 유리하였다. 결과적으로, 해발, 경사도 및 낙엽층 두께는 송이버섯 시로 토양 미생물 활성과 바이오매스에 영향을 미치는 3개 핵심요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