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HE, Jie,WU, Xu-gan,JIANG, Xiao-dong,ZHAO, Heng-liang,WANG, You-peng,LIU, Hao,CHENG, Yong-xu |
초록 |
기존의 연구에서 중국 창장강 야생형 게 유생은 성체 단계에서 우수한 양식 성능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성체 양식 단계에서 야생형 메갈로파 유생의 양식 효과는 아직 명확하지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체 양식 단계에서 야생형 및 인공번식 메갈로파 유생으로 양식한 게(게 품종)의 성장, 생식선 발달, 생존율, 수확량, 사료계수, 성체의 평균 체중 및 크기 분포 등을 체계적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1) 암게와 숫게를 막론하고, 야생형 군집 중후기의 평균 체중은 인공번식 군집보다 훨씬 더 높았다. 5-6월 및 7-8월 동안, 야생형 숫게 군집의 체중 증가율(weight gain rate, WGR) 및 비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 SGR)는 인공번식 군집보다 훨씬 더 높았으며, 또한 야생형 암게 군집의 8-9월 동안에 따르는 WGR 및 SGR도 인공번식 군집보다 훨씬 더 높았다(P (2) 야생형 군집의 최종 성체 크기는 인공번식 군집보다 훨씬 더 큰 반면(P 0.05). (3) 최종 성체의 크기 분포로부터 볼 때, 야생 군집에서 대형 숫게(체중≥175g) 및 대형 암게(체중≥125g)의 비율은 인공번식 군집에서보다 많은 반면, 중간 정도 크기의 숫게(체중이 125~174.9g) 및 암게(체중이 100~124.9g)의 비율은 인공번식 군집에서보다 낮았다. 결론적으로, 창장강 수계의 야생형 메갈로파 유생은 성체 단계에서 인공번식 메갈로파 유생보다 양식 성능이 더 우수함으로써 그 우수한 생식질 자원을 한층 더 발굴하고 우량한 중국 토종 민물 참게 품종을 개발하는데 기반을 마련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