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crab assemblage in Haizhou Ba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多樣性 = Biodiversity science
ISSN 1005-009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UO, Xi-ling,REN, Yi-ping,XING, Lei,XU, Bin-du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1년 3월, 5월, 7월, 9월과 12월에 하이저우만(Haizhou Bay) 해역에서 진행한 어업 자원 저인망 조사 데이터에 근거하고, Margalef 종류의 풍도 지수(D), Shannon-Wiener 다양성 지수(H')와 Pielou 균등성 지수(J′) 등을 이용하여 해당 해역에 있는 게류 개체군의 종 구성 및 다양성의 공간적 및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조사에서 총 34종의 게류를 포획하였으며 18과 27속에 속하였다. 그중 밤게과(Leucosiidae)의 종류가 가장 많았는데 3속 4종이었다. 온도 적응 속성으로부터 봤을 때 난수종(16종)과 온난종(15종)이 위주였으며 냉온종은 3종이었다. 게류 개체군의 여러 가지 다양성 지수는 월간 변화가 비교적 컸으며 그중 종 풍도 지수(D)는 3월에 가장 높았고 12월에 가장 낮았다. 다양성 지수(H′)와 균등성 지수(J′)는 모두 7월에 가장 높았고 12월에 가장 낮았다. 다양성 지수의 공간 분포는 일정간 월 변화가 있었는데 3월, 5월, 7월에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추세를 나타냈으며 9월에는 중간이 낮고 남, 북 해역이 비교적 높았다. 또한, 12월에는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은 추세를 나타냈다. 게류 단일 망 포획으로 어획한 어류 수량의 공간 분포 패턴은 뚜렷한 월 변화가 있었다. 평균 단일 망 포획으로 어획한 어류의 수량은 일정한 월 변화가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3월, 5월, 12월에 7월 9월 보다 높았다. Pearson 상관 분석 결과, 5월, 다양성 지수(H′)와 균등성 지수(J′)는 해저 수온과 뚜렷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해저 염도와 아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다양성 지수는 수심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12월의 균등성 지수는 해저 수온, 수심과 모두 아주 뚜렷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해저 염도와는 뚜렷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3월, 7월, 9월 여러 가지 다양성 지수와 해저 수온, 해저 염도 및 수심 사이에는 모두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하이저우만 게류의 종 구성 및 다양성의 공간적 및 시간적 변화는 하이저우만 지역이 위치한 온도대 해역, 수온 등 해양 환경 요인의 계절적 변화 및 우점종의 수량 분포와 관계가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21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aizhou Bay,crabs,species diversity,spatio-temporal distribution,하이저우만,게류,생물 다양성,공간적 및 시간적 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