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OLETF 쥐에서 날록손의 MTII에 의한 식욕억제 증가효과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대한내분비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ISSN 1015-638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배장호,박용훈,김성호,박소영,김종연,손조영,허정윤,원규장,김용운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8-01-01
초록 연구배경: 지방세포에서 분비되어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식욕 감소와 에너지 소비 증가를 유도하는 렙틴은 강력한 체지방 감소효과에도 불구하고 비만한 사람이나 실험동물에서 발생하는 렙틴저항성 때문에 임상에서 제한적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렙틴 저항성의 원인이 되는 시상하부의 궁상핵 우회한 melanocortin 계를 자극하여 렙틴 효과를 만들어내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제 3/4형 melanocortin 수용체에 작용하는 MTII를 뇌실로 장기간 주입하면 렙틴유사 효과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빠른 내성이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MC3/4R에 억제적으로 작용하는 AgRP를 날록손으로 차단하여 MTII의 렙틴유사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비만 실험동물로는 OLETF 비만쥐를, 정상대조군으로는 Sprague- Dawley 쥐를 사용하였다. MTII와 날록손을 뇌실로 삽입된 뇌주입기와 연결된 osmotic minipump를 사용하여 1주일간 투여하면서 매일 식이섭취량을 측정하여 식욕억제효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OLETF 비만쥐에 MTII를 주입한 결과 초기에는 식욕억제가 나타났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효과가 감소하는 빠른 내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OLETF 비만쥐에서 MTII와 날록손을 함께 투여한 경우에는 MTII의 식욕억제, 체중감소 및 복강 내 지방 감소효과가 증가되었다. 정상대조 쥐에서는 날록손의 식욕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을 뿐 아니라 MTII의 효과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OLETF 쥐에서 real-time PCR로 분석한 시상하부 proopiomelanocortin(POMC) 발현은 날록손 처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gRP의 발현은 MTII, 날록손, 및 혼합 투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europeptide Y (NPY)의 발현은 AgRP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제4형 melanocortin 수용체 발현은 정상대조쥐에서 MTII처치에 의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OLETF 비만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OLETF 비만쥐에서 날록손은 단독투여로는 식욕억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MTII와 함께 투여되었을 때는 MTII의 식욕억제, 체중감소 및 복강 내 지방감소효과를 증가시켰다. 이 결과는 melanocortin 계를 목표로하는 비만 약물을 사용할 때 날록손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480610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LETF rats,leptin resistance,MTII,naloxone,tachyphylax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