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허정은,석지혜,김미경,최임정,손석만,김인주,김용기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8-01-01 |
초록 |
배경 및 목적: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 TSH 수용체 항체 측정은 전통적으로 돼지의 갑상선 세포막을 수용화한 TSH 수용체를 사용한 1세대 TSH 결합억제 면역글로불린(TBII) 측정법을 사용하였는데 최근 예민도를 높이기 위해 돼지 갑상선 수용체를 유전자재조합 사람 TSH 수용체로 대체한 2세대 TBII 측정법의 유용성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진단에 두 측정법을 비교하여 유전자 재조합 사람 TSH 수용체를 이용한 2세대 TBII 측정법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그레이브스병을 처음 진단받거나 재발이 확인되고, 항갑상선제 치료 시작 4주 이내인 환자 76명과 하시모토 갑상선염으로 진단받고 갑상선 호르몬제를 복용하지 않거나 적어도 3개월 이상 복용을 중지한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 갑상선질환의 가족력 및 병력이 없는 건강한 성인 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과 대조군의 혈청을 분리하여 전통적인 TBII 측정법(pTBII)과 유전자재조합 사람 TBII법(hTBII) 두 가지를 사용하여 TBII를 측정하였다. 결과: 대조군 66명의 혈청을 이용하여 pTBII와 hTBII의 양성 기준을 기하평균에 기하표준편차의 두 배수를 더한 수치로 각각 10.8 IU/L 초과와 1.0 IU/L 초과로 정하였다. 그레이브스병의 진단에 있어 민감도는 pTBII 법과 hTBII 법이 각각 62% (47/76)와 100% (76/76)이었다. 하시모토 갑상선염 환자 54명 중 TBII 양성으로 나온 환자는 pTBII의 경우 3명(5.6%), hTBII는 7명(13%)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진단에서 유전자재조합 사람 TSH 수용체를 이용한 2세대 TBII 측정법이 전통적 방법에 비해 민감도 면에서 비교할 만한 좋은 검사법임을 알 수 있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0293840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