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山詩』의 구조와 의미작용 : 서정주론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우리 文學 硏究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ISSN 1229-742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7-01-01
초록 徐廷柱 문학의 총체적인 구조와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통시적 관점에서의 텍스트 분석이 요구된다. 이런 점에서 연구자들의 시선을 매혹시키지 못했던 그의 후기ㆍ말기 시집들, 가령 『산시』, 『늙은 떠돌이의 詩』, 『80소년 떠돌이의 詩』등의 시집들이 제대로 조명되어야 할 터이다. 이렇게 될 때에 서정주 문학의 총체적인 세계를 통시적 관점에서 탐색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전초 작업으로서 『山詩』를 대상으로 하여 시텍스트의 구조와 그 의미작용을 탐색하고자 한다. 제Ⅱ장에서는 山과 人間의 相同的 구조와 상승적인 삶의 세계를 분석해 보았다. 그는 山을 人間처럼 하나의 身體 構造로 보고, 그것을 詩텍스트로 건축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호체계를 통하여 天上의 가치로써 地上의 가치를 淨化하려고 한다. 이것을 통해 상승적인 영원한 삶의 시간을 향유하려는 욕망을 보여준다. 제Ⅲ장에서는 性的 욕망의 교환 구조와 女性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山은 神과 人間이 교섭하는 접점으로서 상호 욕망을 교환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神과 人間은 이 접점공간을 통해 상호 性的 慾望을 교환하고자 하지만, 肉體性의 근원적 한계에 부딪혀 성취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난다. 그리고 女性에 대한 그의 인식은 자기 정체성 혼란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을 性的 대상의 소유물로 여기는 동시에 절대적 생명체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Ⅳ장에서는 緣起說의 기법구조와 역사적 同一體로서의 山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는 인간의 사물화, 사물의 사물화를 창조하는 유기체로서의 우주론적 思惟 보여주고 있는데, 그것을 불교의 연기설 기법을 활용해 구조화하고 있다. 또한 그는 人間의 역사와 山의 역사를 相同的 구조로 보면서, 山이 인간 역사의 흥망성쇠와 그 궤를 같이 하고 있음을 밝혀내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1463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서정주,산시,상동적 구조,의미작용,성적 욕망,여성의 의미,연기설,동일체,Seo, Jung Ju,diachronic perspective,homologous organ,erotic desire,the meaning of woman,Cause and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