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이 논문은 천부경의 기호학적 해석이 가능한가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천부경의 기호학적 해석을 위해서는 먼저 선결되어져야 하는 요소가 있다. 그것은 천부경이라는 텍스트가 문법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그 문법적 구성은 어휘를 내포하고 있어야 하며, 그 어휘에는 발전 과정을 볼 수 있는 흔적을 찾아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최소한의 구조적 형태가 갖추어져 있을 때에야 비로소 우리는 천부경의 기표나 기의 그리고 심층구조나 표층구조를 분석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과연 천부경의 우주론적 사고가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천부경의 천 지 인은 1, 2, 3이라는 숫자와 함께 피라미드적 기하학의 도형을 연상케 하는데 이것은 바로 천부경이 가지고 있는 우주적 특성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천부경은 81자의 문자도형을 통해 우주의 운동과정을 묘사함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천부경 문구 속에서의 행위동사를 통해 현실로 그 상징체계를 발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천부경의 문법체계는 바로 우주 질서의 기호적 의미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호체계는 고인돌과 장군총에서 엿볼 수 있으며, 천단이나 금자탑 그리고 윷놀이에서 그 구체적인 우주 사상이 생활 속에서 실현되어 천부경 내에 함께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모두 천부경의 원형사상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원형의 상징들은 바로 오늘날 한민족의 사상적 근간이 되는 천부인권과 천지인 사상의 모태가 되고 있음을 또한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