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lt;TEX gt;$ alpha$ lt;/TEX gt;-아미노이소부틸산-알라닌 올리고 펩티드의 lt;TEX gt;$3_{10}$ lt;/TEX gt;/ lt;TEX gt;$ alpha$ lt;/TEX gt; 나선 전이에 관한 모형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ISSN 1017-254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영구,박형석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4-01-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 alpha}$ -aminoisobutyric acid (Aib)와 alanine (Ala)이 교대로 결합된 올리고펩티드(Buo-(Ala-Aib) $_n$ -oMe:여기서 Buo는 t-butoxy를 oMe는 methoxy를 의미한다)의 구조적인 전이현상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통계 열역학적인 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Poly $ alpha-aminoisobutyric$ acid는 $3_{10}$ 나선 구조를 가지며 polyalanine은 $ alpha$ 나선구조를 가진다. 올리고펩티드(Buo-(Ala-Aib) $_n$ -oMe)의 사슬 길이를 N = 4(N = 2n)에서부터 증가시킬 때, $3_{10}$ 나선구조에서 $ alpha$ 나선구조로의 전이는 사슬길이가 N = 8일 때 일어난다. 올리고 펩티드는 수용액에서 코일 구조로만 있으나, 유기용매(예를 들면, $CD_3$ CN)에서는 여러가지 구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코일구조만으로 된 것, 코일과 $3_{10}$ 나선구조로 된 것, 코일과 $ alpha$ 나선구조로 된 것을 zipper 모형을 사용하여 전이현상을 설명하였다. Zimm-Bragg변수인 $ alpha$ 와 $ xi$ 는 실험적인 값에 의거하였다. 각각 그 값은 $ sigma_T$ = 0.00011� 0.00011이고, ${ sigma}_T$ = 0.0060이� 0.0060이며, $ xi_A$ = 10.1, 10.1, $ xi_T$ = 3.90� 3.90이 된다(첨자 A와 T는 각각 $ alpha$ 나선, $3_{10}$ 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슬 전체길이를 N이라 하면 $ alpha$ 나선내에서의 나선내 수소 결합수는 N-2, N-3, N-4, ${ cdots}$ , 3, 2, 1등이 있을 수 있으며, $3_{10}$ 나선에서는 N-1, N-2, N-3, N-4, ${ cdots}$ , 3, 2, 1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 xi_A$ 와 $ xi_T$ 가 1보다 큰 값을 가지기 때문에, 긴 나선으로 된 사슬로 존재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많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41346451439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