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화강암질암내 심부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지하수환경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ISSN | , |
ISBN |
저자(한글) | 이종운,전효택,전용원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1997-01-01 |
초록 | 방사성폐기물의 지하심부 처분을 위한 수리지구화학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국내 화강암질암을 대수층으로 하는 지표수 및 지하수를 대상으로 시료채취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dataset을 구축하였다. 심도에 따른 용존물질의 절대 및 상대함량과 거동특성을 통계적으로 파악하고 지하수의 화학적 조성의 원인이 되는 물-암석반응을 열역학적 해석과 결부하여 규명하였다. 화강암질암 대수층에서 총용존물질량은 심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함으로써 심부로 갈수록 물-암석반응을 많이 거친 물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지하수의 조성은 초기의 $Ca^{2 #65291;}$ #65293;(C $l^{ #65293;}$ #65291;S $O_4$ $^{2 #65293;}$ ) 또는 $Ca^{2 #65291;}$ -HC $O_3$ $^{ #65293;}$ 유형에서 시작하여 점차 $Ca^{2 #65291;}$ -HC $O_3$ $^{ #65293;}$ 유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Na^{ #65291;}$ -HC $O_3$ $^{ #65293;}$ 또는 $Na^{ #65291;}$ #65293;(C $l^{ #65293;}$ #65291;S $O_4$ $^{2 #65293;}$ ) 유형으로 진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Ca^{2 #65291;}$ , $Na^{+}$ , $SiO_2$ (aq)가 대표하는 다음의 세 가지 기제에 의하여 설명이 가능하다. 1) 천부지하수의 화학조성을 조절하는 가장 주된 반응은 방해석의 용해이나 중간지하수를 거치면서 방해석 포화상태에 이르러 광물상으로 침전되며 심부지하수에서는 $Ca^{2 #65291;}$ 의 함량이 감소한다. 2) 심부지하수에서는 사장석의 용해가 주도적인 반응으로 작용하며 $Na^{ #65291;}$ 를 공급하므로써 함량을 증가시킨다. 3) 중간 및 심부지하수에서는 kaolinite-smectite 또는/그리고 kaolinite-illite 간의 반응이 평형에 도달함으로써 용존 $SiO_2$ (aq) 함량을 유지시키며 또한 이들 반응은 심부지하수에서 $Mg^{2 #65291;}$ 및 $K^{ #65291;}$ 가 결핍되는 현상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71192155665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