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Chemiluminescence Enzyme Immunoassay Method to Collect in vivo Matured Oocyte in Dog Cloning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ISSN | 1598-298x, |
ISBN |
저자(한글) | Kim, Min-Jung,Oh, Hyun-Ju,Kim, Geon-A,Jo, Young-Kwang,Choi, Jin,Lee, Byeong-Chu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개 복제는 성숙된 중기의 난자를 수술적으로 회수하여 바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번식 보조술에 비하여 체내 난자 성숙의 정확한 예측이 특히 더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에서 체내 성숙 난자 회수 시 방사면역분석기법(RIA)과 비교하여 화학발광효소면역분석기법(CLEIA)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참고값을 설정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배란일(Day 0) 결정을 위하여 발정전기와 발정기의 혈청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RIA와 CLEIA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Day 3에 수술적인 방법으로 체내 난자를 회수하였고, bisbenzimidazole로 핵을 염색한 뒤 성숙을 현미경으로 평가하였다. 평균 호르몬 농도는 CLEIA 값 ( $7.64{ pm}0.06ng/ml$ )이 RIA 값 ( $6.46{ pm}0.04ng/ml$ , P $10.01{ pm}0.34ng/ml$ )은 RIA 값 ( $7.91{ pm}0.14ng/ml$ )과 다르지 않았으나, Day -1과 Day 1일 때는 CLIEA ( $6.41{ pm}0.15$ and $14.25{ pm}0.44ng/ml$ )가 RIA( $4.95{ pm}0.10$ and $11.29{ pm}0.34ng/ml$ )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두 가지 방법 모두 Day -1에서 Day 2까지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유의적으로 점차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CLEIA 방법으로 난자 성숙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더 넓은 범위와 높은 참고 값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42816222822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화학발광효소면역분석기법,체내 성숙 난자,프로게스테론,개,chemiluminescence enzyme immunoassay,in vivo matured oocyte,progesterone,do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