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Effect of Crosslink on the Structures and Performance of Oxidized Bacterial Cellulose/Silk Fibroin Composite Film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醫學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ISSN 0258-802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Shuai-yan,HUANG, Tao,LAI, Chen,XI, Ting-fei,NAN, F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가교제(crosslinker)가 나노 세균성 섬유소(nano-bacterial cellulose)/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 복합체(complex)의 물리 화학적(physical-chemical) 성능에 대한 영향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방법은 세균성 섬유소 막과 산화된 세균성 섬유소 막을 각각 실크 피브로인 용액과 직접 혼합하는 것이고 둘째 방법은 혼합할 때 가교제를 추가하는 것이다. 복합 막에 대해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핵자기 공명 분광법(NMR), X선 광전자 분광법(XPS),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FE-SEM)과 역학 강도 테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FTIR, NMR 등 결과, 실크 피브로인은 산화(oxidation)된 세균성 섬유소 막과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고 XPS 결과, 가교제의 첨가 여부와 상관없이 C1s, O1s와 N1s의 에너지 스펙트럼 피크(Energy Spectrum peak)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BC/SF 복합막,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은 C/N 몰비(molar ratio)와 가교제를 첨가한 C/N 몰비를 비교할 때 9.63으로부터 3.94로 줄었고 TBC/SF의 C/N 비율은 5.03으로부터 7.41로 증가하였다. FE-SEM 결과, 가교제를 첨가한 조합의 막 표면은 비교적 고르고 구조는 뚜렷하게 변하였으며 역학 강도 테스트 결과,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은 TBC/SF와 가교제를 첨가한 TBC/SF의 파괴 신장률(breaking elongation)을 비교할 때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 가교제를 첨가하여 얻은 복합막의 성능이 더 좋을 뿐만 아니라 의료용 재료 방면, 특히는 세포화(cellularization)의 혈관 지지체(scaffold) 방면의 응용에서 일정한 전망이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48931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acterial cellulose,oxidation,silk fibroin,composite,세균성 섬유소,산화,실크피브로인,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