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Dao-jun,WANG, Ya-hui,ZHAO, Peng-xiao,SU, Yu-feng,ZUO, Qing-mei |
초록 |
충둥난 분지(Qiongdongnan Basin, QDNB) 중앙 협곡은 대형 축방향의 협곡 체계이며, 뚜렷한 '분할성' 특성을 갖고 있다. 서로 다른 지역대 퇴적 충전과 내부 구조는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그중 링수이(Lingshui) 구간은 협곡 서쪽에 위치하였고 매우 양호한 저수지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심수지역 협곡을 탐사하는 중점 지역이다. 링수이 구간 협곡 내부 수도 복합체의 퇴적 충전 및 퇴적 미세 위상 분포 특성을 더한층 정밀하게 형상화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새로 증가한 3차원 지진 자료와 새로운 시추공 자료를 이용하고, 협곡 3차 연계층 경계(sequence boundary) 식별을 통하여 협곡 충전을 3개 시퀀스 SQ1, SQ2와 SQ3으로 나누었다. 또한, 고생물 유공충 화석대, 석회질 초미세 화석대, 시추공-지진 결합을 통하여 협곡 바닥이 중신세 말기 S40 경계면이라는 것을 확정하였다. 링수이 구간 협곡은 서쪽으로부터 동쪽으로 순서대로 6가지 주요 내부 충전 구조를 식별할 수 있으며, SQ3 시퀀스를 5개 2차 시퀀스(SSQ1~SSQ5)로 세분화할 수 있다. 속성 특성을 결합하여 링수이 구간 협곡 내부 퇴적의 미세 위상 분포 및 공간 진화 특성을 정밀하게 묘사하였으며, 포인트 바(point bar)가 SSQ1 시퀀스에서 가장 발육하고 규모가 비교적 크며 횡방향으로 분포됨으로 하여, 다음 단계 탐사에서 유리한 저장체로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