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different planting modes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ri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Hong-jiang,ZHENG, Jian-chu,CHEN, Liu-gen,ZHOU, W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자포니카벼(Japonica rice) 품종인 우윈징24(Wuyunjing 24)를 실험소재로 하고, 또한 직파벼Ⅰ(direct seeding rice)(6월 1일 파종), 직파벼Ⅱ(6월 17일 파종), 손으로 파종한 것(manual transplanting)과 기계파종(mechanical transplanting) 등 4가지 파종방법을 설정하여 서로 다른 파종방법이 벼의 생장과 발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서로 다른 파종방법이 벼의 생장시기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였는데 손으로 파종한 벼의 생장단계가 제일 길고, 그 다음으로 기계파종한 벼의 생장단계가 길고, 직파벼의 생장단계가 제일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산량은 기계파종한 벼가 제일 높고, 직파벼가 제일 낮으며, 바이오매스량(biomass)은 생장 초기 단계에 손으로 파종한 벼가 제일 많고, 기계파종한 벼가 비교적 적고, 성숙단계에 직파한 벼Ⅱ가 제일 적고, 기계파종한 벼와 손으로 파종한 벼의 바이오매스량은 비슷하였다.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는 생장단계 초기에 손으로 파종한 벼가 제일 높고, 출수기(heading stage)에 서로 다른 파종방법으로 처리한 벼의 엽면적지수는 뚜렷한 차이가 없고, 생장단계 말기에 직파한 벼의 엽면적지수가 감소되는 속도가 비교적 빠르고, 손으로 파종한 벼와 기계파종한 벼의 엽면적지수는 직파한 벼보다 뚜렷하게 향상되었다. 서로 다른 생장단계에 서로 다른 파종방법으로 처리한 벼의 광합성 기능(photosynthetic potential)은 직파벼가 비교적 약하고, 손으로 파종한 벼와 기계파종한 벼가 비교적 강하며, 벼 생장율(rice growth rate)은 생장단계 초기에 직파한 벼Ⅰ과 손파종한 벼가 비교적 높고, 생장단계 말기에 직파한 벼Ⅱ의 생장율은 뚜렷하게 향상되었으며, 벼 출수기에 단위건조무게 뿌리(per unit dry weight of root) 중 alpha;-나프틸아민 산화량( alpha;-naphthylamine oxidation amount)은 기계파종한 벼가 손으로 파종한 벼와 직파벼 보다 뚜렷하게 높으며, 논벼 분얼기(tillering stage)와 출시기에 손으로 파종한 벼와 직파벼Ⅰ의 잎 중 엽록소(chlorophyll) 함량은 비교적 높고, 출수기로 부터 성숙기 단계에는 기계파종한 벼의 잎 중 엽록소 함량이 제일 높았다. 이로부터 기계파종한 벼의 생장단계는 비교적 길고, 생장단계 초기에 생장은 우수하며, 중간 단계 말기에 엽면적지수는 비교적 높고, 광합성 기능이 강하고, 잎 중 엽록소 함량이 비교적 높고, 뿌리 활성(root activity)이 비교적 강하므로 벼의 생산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69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lanting mode,grain yield,biomass,chlorophyll,root activity,재배 방법,벼 생산량,바이오매스량,엽록소,뿌리 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