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GUO, Bao-wei,ZHU, Cong-cong,ZHU, Da-wei,ZHANG, Hong-cheng,JIANG, Feng,GE, Meng-jie |
초록 |
중국 남부의 벼 재배지역에 대규모로 응용이 되고 있는 일반 자포니카 벼(japonica rice), 교잡 자포니카 벼, 교잡 인디카 쌀(indica rice)에서 각각 2개의 대표성 품종을 선택하여 재료로 이용하고, 포트묘(pot seeding) 기계이앙의 다양한 휴간 거리(hill spacing)에 근거하여 고, 중, 저 등 3개 밀도를 설정한 후, 플라스틱 플레이트를 이용한 담요모양의 육묘 기계이앙을 대조군으로, 포트묘 기계이양의 다양한 밀도가 벼의 초형 및 논밭의 미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유형별 벼 품종의 끝잎과 제2끝잎의 엽침 거리, 제3끝잎과 제4끝잎의 엽침거리, 유효 잎면적비, 고효율 잎면적비, 끝잎 협각, 제2끝잎 길이, 제3끝잎 길이 및 엽각, 이삭 길이 및 이삭 아랫부분의 두 잎새 간 거리는 모두 이앙 밀도의 감소와 더불어 증가하였다. 수관층의 내부 온도는 이앙 밀도의 감소와 더불어 감소하였으며, 일반 자포니카 벼와 교잡 자포니카 벼는 중, 저 밀도로 처리하였을 때 투광성이 양호하였으며, 교잡 인디카 벼는 투광성이 떨어졌다. 포트묘 기계이앙 벼는 플레이트를 이용한 일반 담요모양의 육묘 기계이앙 유묘의 초형보다 정연하였으며, 개체군의 내부 온도는 감소하였다. 포트묘 기계이앙을 이용한 일반 자포니카 벼, 교잡 자포니카 벼, 교잡 인디카 벼에 가장 적합한 휴간 거리는 각각 12, 14, 16 cm였는데, 이는 효율성, 저비용과 고수확, 고효율의 통일을 실현하는 데 유리하였으며, 대규모의 생산을 위하여 참고정보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