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숲해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백운산휴양림에서의 방문객 특성에 관한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ISSN 1226-551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nbsp; nbsp;백운산에 적합한 숲해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본 연구는 해설 프로그램의 내용과 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2011년 7월에 백운산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233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백운산의 자연자원 및 문화와 역사유적에 대한 방문객의 지식정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방문객의 지식수준은 높았으며, 백운산의 자연자원 및 문화와 역사유적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과 지적호기심은 높게 나타나 이용경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해설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2. 방문객들의 백운산에 대한 지적호기심을 5단계 리커드 척도로 분석한 결과 초본류 및 야생화(3.51), 수목(3.48)에 대하여 가장 알고 싶어 했으며, 문화와 역사와 유적(3.42), 야생동물(3.27), 암석(3.20), 곤충(2.98), 지리(2.94)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3. 방문객들의 자연자원 및 문화와 역사유적 등의 구체적 항목에 대한 지식수준을 10점 만점으로 평가한 결과 수목(6.65), 야생화(6.50), 곤충(6.08), 야생동물(5.90), 문화와 역사자원(5.84) 그리고 조류(5.34)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계층적 분석에 의하면, 남자가 여자 보다 높았으며, 고 연령층 그리고 저학력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생집단이 직업별로는 지식수준이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백운산 해설 프로그램에의 참가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한 결과 공무원과 교사, 이전에 유사한 해설 프로그램의 경험이 있는 방문객, 학력이 높은 방문객, 공원 이용만족도가 높은 방문객의 참가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방문객의 성별, 연령, 동반자수, 지식수준 등은 참가의사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백운산 방문객들은 백운산의 자연자원 및 역사 유적의 학습에 대하여 강한 호기심을 나타내고 있으며, 해설 프로그램의 실시 및 참여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문객들의 지식수준과 특성은 사회 계층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해설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하며, 프로그램 참가 후 방문객들로부터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만족도 등 결과를 평가하는 등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전체적으로, 백운산 방문객들이 해설 프로그램에 대하여 높은 호응도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8274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atural resources,historical resources,interpretation,intellectual curiosity,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