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FEI, Zhong,LI, Heng,GONG, Jing-song,YANG, Tao,XU, Zheng-hong,SHI, Jing-song |
초록 |
키토산나아제(chitosanase)(EC3.2.1.132)는 키토산(oligochitosan)을 활성이 양호하고 응용전망이 광범위한 저분자 키토산 혹은 키토산 올리고당으로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특수성이 강한 키토산나아제에 발효 수준이 낮고, 단일 종류이며 응용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새우게 투기장 진흙 샘플을 추출하여 메타게놈 라이브러리(metagenomic library) 방법으로 Fosmid 라이브러리로부터 키토산나아제 유전자 ChiE를 선별하였다. 시퀀싱 결과, ChiE는 1,362 bp로 조성되었으며 453개 아미노산을 코딩하고 예측 분자량(M r )은 약 42×10 3 이었다. ChiE와 pET-28a(+) 벡터를 연결하여 대장균 Escherichia coli Rosetta-gami(DE3)으로 전환하고 키토산나아제 재조합균을 구축하였다. 이온교환 칼럼(ion exchange column)(DEAE Sepharose FF)과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칼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column)(Superdex TM 75)으로 목적 단백질을 정화하였다. 효소학적 성질 결과, 해당 효소의 최적 적용 온도는 70℃, 최적 pH는 6.0이고, Li + , Sr 2+ , K + 등 이온은 이에 대해 일정한 활성화 작용을 갖고 있었으며, Fe 3+ , Pb 2+ , Fe 2+ 등 이온은 서로 다른 정도의 억제작용을 갖고 있다. 최적 적용 조건에서, 해당 효소 비활성은 2,158 U/mg이었다. 본 연구 결과, 재조합균 E.coli Rosetta-gami(DE3)/ChiE는 배양이 간단하고 효소 발효 생산량이 큰 등 장점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유전자공학균으로 키토산나아제를 생산하는데 기초를 마련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