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XIAO, Rong,WEN, Ye,TANG, Shao-jun,ZHAO, Xin-min,DING, Xue-zhi,HU, Sheng-biao,XIA, Li-qiu,SUN, Yun-jun |
초록 |
【목적】토양 샘플에서 점액세균(myxobacteria)을 분리, 정제, 분류, 감정하여 세균 균종 자원을 풍부히 하고자 한다. 정제한 점액세균의 세균발육 억제, 살충 및 항종양 생물학적 활성을 분석하여 점액세균의 이차 대사산물을 개발하는데 기반을 제공한다. 【기법】불활성화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여과지에 의한 자실체 유도법을 이용하여 토양 샘플로부터 점액세균을 분리하였으며, 형태학적 관찰, 생리생화학적 특성과 16S r DNA 유전자 서열의 상동성에 대한 분석을 결합하여, 분리한 각 균주를 감정하고 분류하였다. 평판 확산법, 곤충에 대한 경구 독성 시험, 종양세포 독성 실험 등 기법을 통하여 점액세균 대사 산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분리한 35주의 점액세균을 대체적으로 Myxococcus(9주), Corallococcus(9주), Nannocystis(11주), Sorangium(6주) 등으로 분류하였다. 8주의 점액세균을 정제한 후 감정하고 명명하였다. 효과적이고 광범위한 종양세포 독성 효과를 갖는 균주 S22, S51, S55이 같은 세포독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밖에, 또 종양세포 독성을 갖는 균주 S20과 S22가 고초균(bacillus subtilis)과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해서도 비교적 양호한 세균발육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론】토양에는 풍부한 점액세균 자원이 존재하였다. 즉 종양세포 독성을 갖고 있는 C. exiguus과 세균발육 억제 및 강한 항종양 활성을 갖고 있는 C. macrosporus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점액세균은 활성 천연제품과 신약 개발에 이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