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 QUATERNARY SEQUENCE STRATIGRAPH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EAST CHINA SEA CONTINENTAL SHELF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地質與第四紀地質 = Marine geology quaternary geology |
ISSN | 0256-1492, |
ISBN |
저자(한글) | CUI, Zheng-ke,YANG, Wen-da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글로벌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아 제4기 후기(late Quaternary)이후 동중국해 대륙붕은 여러 차례의 해수면 상승과 하강 과정을 거쳤으며 퇴적 지층에 뚜렷한 지질 기록을 남겼다. 동중국해 대륙붕을 지나가는 얕은 지진 단면을 해석한 결과, 해저 아래로 약 120ms 시간 깊이 내에서 6개의 주계열성 반사면 즉 QT0, QT1, QT2, QT3, QT4, QT5와 5개의 반사 층서(반사파 그룹)를 식별할 수 있다. 반사 층서의 구조 및 지진상 특징과 구역 내 시추공(Borehole) 지질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각 반사 층서는 퇴적 환경에서 모두 해침과 해퇴의 퇴적 서열로 구성되었다. 순차 층서학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중기 플라이스토세(Middle Pleistocene) 이후의 지층 층서 및 퇴적 환경 조건에 대하여 분석하고 연구를 진행한 기초에서 동중국해 대륙붕의 제4기 후기 지층 층서 및 발육 모드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동중국해 대륙붕 구역의 제4기 후기 지층이 층서를 발육하는데 초보적인 인식을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47577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The continental shelf of East China Sea,sub-bottom profile,stratigraphic sequence,sedimentary environment,late Quaternary,얕은 지진 단면,순차 층서,퇴적환경,제4기 후기,동중국해 대륙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