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exopolysaccharide producing endophytic strain Lysinibacillus fusiformis S-1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Yang,CHEN, Min,PANG, Xin,LIANG, Man-man,MA, Lu-l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미생물의 세포외 다당은 중요한 생물 자원이다. 약용가치가 있는 새로운 세포외 다당 생산균을 획득하기 위해 마(Chinese yam), 고구마, 감자, 당근의 뿌리 및 줄기 조직에서 세포외 다당을 생산하는 11개 식물 내생균을 분리 및 선별하였다. 그리고 페놀-황산법을 사용하여 11개 균주의 다당 생산량을 정량 분석하였다. 다당 생산량이 가장 많은 S-1 균주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발효 과정에서의 균체 성장, 세포외 다당 생산, 발효 과정에서의 pH 값의 변화를 검사하였고 세포외 다당 발효 대사 곡선을 작성하였다. 형태학적 관찰, 배양 특성 분석, 생리생화학적 실험, 16S rDNA 서열 분석법을 사용하여 S-1 균주를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 S-1 균주는 당 생산을 위한 배양배지에서 1.50g/L의 세포외 다당을 생산하였고 11개 균주에서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16S rDNA 서열 분석을 통해 본 균은 Lysinibacillus에 속하며 Lysinibacillus fusiformis(L. fusiformis)와의 유전적 유연관계는 가장 가까운 것을 발견하였다. 형태학적 특성, 배양 특성, 생리생화학 실험 결과를 종합한 결과 S-1 균주는 L. fusiformis인 것으로 판정되었다. 본 균은 세포외 다당 생산균 영역에서 보도된 바가 거의 없으며 세포외 다당의 진일보 연구에 균종 자원을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68947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ndophytic bacteria,exopolysaccharide,16S rDNA,Lysinibacillus fusiformis,식물 내생균,세포외 다당,16S rDNA,Lysinibacillus fusiform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