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n Vitro Study of Gadopentetate Acid Dimeglumine Labeled Human Umbilical Cord Mesenchymal Stem Cells Mediated by Three Different Transfection Agents Tracking under M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細胞生物學學報 = Chinese journal of cell biology
ISSN 1674-76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SHUAI, Han-lin,LIN, Xiao-wen,SHI, Chang-zheng,SONG, Hong,LUO, Xin,ZHU, Xiao-hu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인간의 탯줄조직에는 중간엽줄기세포(human umbilical cord mesenchymal stemcells, hUCMSCs)가 많이 포함되었으므로 줄기세포 연구의 이상적인 종자 원천이다. 어떻게 탯줄조직에서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하고, 어떻게 영상기술을 이용하여 줄기세포의 생물학 행위를 추적하는가 하는 문제는 현재 연구의 주요관심사이다 해당 실험은 조직의 조각 벽면 부착법을 응용하여 만삭 임신부의 탯줄조직에서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하고 정제하여 감정하였다. 실험결과, hUCMSCs라고 확정되었다. 심층적으로 인산칼슘, Effectene, 지질체 2000 등 3가지 형질전환제를 매개체로 사용하여 Gd-DTPA로 표기한 hUCMSCs을 유도하였으며,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검측을 통하여 가도펜테테이트 다이메글루민(Gadopentetate dimeglumine, Gd-DTPA)로 표기한 세포의 신호 강도 변화 및 세포 내의 가돌리늄(gadolinium) 이온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3가지 형질전환제의 형질전환 능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3가지 형질전환제에서 Effectene를 매개체로 사용하였을 때 Gd-DTPA로 표기한 hUCMSCs의 유도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해당 실험 결과는 Gd-DTPA로 줄기세포의 체외 MR 영상을 표기하는데 실험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67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esenchymal stem cells,magnetic resonance imaging,tracking,중간엽 줄기세포,자기공명영상,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