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search Progress of Escherichia coli RNA Chaperone Hfq Interaction With DsrA and rpo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ISSN 1000-32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Li-Jun,WANG, Wei-Wei,GONG, Qing-Guo,WU, Ji-Hui,SHI, Yun-Y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RNA 샤페론(RNA chaperone) Hfq는 세균의 주요한 전사 후 조절 인자이며 비코딩 small RNA(sRNA)와 목표 mRNA 사이의 배합을 돕는다. mRNA rpoS로 코딩한 안정적인 sigma 요인 sigma; S 는 대장균 내 스트레스 반응의 핵심 조절 인자이다. 저온 조건에서 Hfq 단백질은 sRNA DsrA가 유도한 mRNA rpoS의 번역 활성화(translation activation)에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Hfq가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sRNA와 mRNA의 대합을 촉진하는지에 대해 비 배타적인(non-exclusive) 두가지 모형이 존재한다. 첫번째는 Hfq 먼 측면과 가까운 측면의 두가지 표면이 sRNA와 mRNA를 동시에 결합하여 두가지 RNA로 하여금 서로 가까워지게 하고 염기 배합을 형성하는데 유리하도록 하는 모형이다. 두번째는 Hfq가 하나 혹은 두개의 RNA를 결합하여 이차 구조 혹은 3차 구조를 변화함으로써 sRNA-mRNA 배합을 촉진하는 모형이다. 최근 연구 결과, 체외에서 sRNA-Hfq-mRNA 3중 복합인자(ternary complex factor)를 성공적으로 포착하였으며, AU 6 A-Hfq-A 7 3중 복합인자의 결정 구조를 측정하였고, 대장균 내에서 3중 복합인자의 형성이 Hfq가 sRNA DsrA를 도와 mRNA rpoS의 번역을 활성함에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것을 증명하였다. 본 논문은 sRNA DsrA와 mRNA rpoS를 사례로 하여 단백질 Hfq와 RNA의 결합 특징을 서술하였고, sRNA-Hfq-mRNA 3중 복합인자의 존재가 sRNA로 유도한 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함에 있어서의 참고적 가치를 논의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75034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fq,RNA chaperone,sRNA DsrA,mRNA rpoS,Hfq-RNA crystal structures,translation activation,Hfq,RNA 샤페론,sRNA DsrA,mRNA rpoS,Hfq-RNA 복합물 결정 구조,번역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