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Xiu-fen,ZHU, Jiao-jun,WANG, Qing-li,ZHANG, Jin-xin,ZHU, Cheng-yao,LIU, Xue-feng,LIU, Li-min |
초록 |
삼림의 저온 및 서리 피해(low temperature and frost damage)는 글로벌 기후 온난화의 발생으로 인하여 감소하는 추세가 아니다. 저온 및 서리 피해의 발생은 나무 조직 혹은 전체 어린나무, 유묘 생성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며, 또 나무의 생장 발육, 천연 갱신 혹은 인공 갱신을 제한한다. 삼림의 저온 및 서리 피해의 발생과 위해성은 나무의 복잡한 물리적 생장 환경과 내동성(freezing resistance)에 의해 결정된다. 나무의 복잡한 물리적 생장 환경은 또 대규모의 대기 순환 및 일부 미기후(microclimate)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 3S기술을 이용하여 복잡한 지형 조건을 기반으로 한 저온 및 빛의 공간 분포 패턴을 구축하고, 나무의 내동성과 결합하여 저온 및 서리 피해를 평가할 수 있는 확률 모델을 구축하였는데, 해당 모델은 서리 피해의 모니터링과 위해성 평가 수준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삼림의 저온 및 서리 피해를 방지하려면 물리학적 및 생물학적 서리 방지기법을 결합하여야 한다. 물리학적 서리 방지기법에서는 방호림과 적당한 채벌 조치를 통하여 삼림 내 지표면의 복사 평형을 개선하였다. 생물학적 서리 방지기법에서는 생물 기술 수단을 통하여 나무의 내동성을 증가시켰다. 서리 재해의 모니터링과 위해성 평가 모델을 결합하여, 다양한 서리 방지 조치의 서리 방지 효과를 정량 평가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