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ervational Performance of KMTNet - Bulge Season 2015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천문학회보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ISSN | 1226-2692, |
ISBN |
저자(한글) | Lee, Chung-Uk,Kim, Seung-Lee,Kim, Dong-Jin,Cha, Sang-Mok,Lee, Yongseok,Lim, Jin-Sun,Lee, Dong-Joo,Park, Byeong-Go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직경 1.6m 광시야 망원경과 3.4억 화소 CCD 카메라로 구성된 동일한 성능의 외계행성 탐색시스템 3대를 남반구 관측소에 설치 완료하였다. 2014년 9월 칠레에 1호기 설치를 시작으로 2014년 12월과 2015년 5월에 남아공 및 호주에 2호기와 3호기를 각각 설치하였다. 외계행성 탐색시스템이 설치된 3개 관측소는 경도상 위치가 적당히 3등분 되어있어 동일한 천체를 최대 24시간 연속하여 관측 가능하다. 우리는 이 시스템이 가진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2015년 10월부터 본격적으로 관측을 수행해오고 있다. 3월부터 10월에는 3개 관측소에서 우리은하 중심부를 24시간 연속 관측하여 미시중력렌즈 방법을 이용한 외계행성 탐색연구를 수행하고 은하 중심부를 관측할 수 없는 기간에는 초신성, 소행성 및 외부은하 등을 관측한다. 각 관측 프로그램의 시간배정 및 관측결과 요약 등의 정보를 홈페이지에 제공함으로써(http://kmtnet.kasi.re.kr/kmtnet-monitor/) 각 프로그램의 관측 상황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발표에서는 지난 2015년 우리은하 중심부를 관측하여 얻은 약 31.5TB의 관측 자료 분석 결과를 통해 구한 관측시스템의 성능을 리뷰하고 2016년 관측시스템 운영계획에 대하여 논의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596463496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