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creening, identification and enzymatic properties of chitosanase-producing strai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ISSN 0253-26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Yan-Jun,ZHUO, Shao-Ling,CHEN, Sheng,YANG, Qi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목적】 선택배양기를 이용하여 푸젠(福建) 연해 조간대(littoral zone)의 진흙 샘플로부터 키토산나아제(chitosanase) 생성균주를 분리 선별하고, 균주의 효소 생성 특성을 연구한다. 【기법】 형태학 관찰을 거쳐, 26S rDNA 서열을 결합한 분류학 감정을 진행하고, DNS법으로 효소활성을 측정한다. 【결과】 선별하여 얻은 키토산나아제의 생성균주 KQ-1002는 Penicillium oxalicum과의 동원성이 99%이며, 페니실리움속의 일종이라고 예비 감정하였다. 발효배양의 제일 적합한 온도, 탄소원, 질소원, pH는 각각 30°C, 1.0% 수용성 키토산(Chitosan), 1.87% (NH 4 ) 2 SO 4 , 6.0이다. 이 균주는 액상발효배양 72시간 후에 키토산나아제 생산 활성이 제일 높고, 최적화 후의 최고 효소생산량은 18U/mL이다. 정화 후의 키토산나아제는 SDS-PAGE 분석을 거쳤으며 그 분자량은 40kD이다. 효소 촉매 반응에서 제일 적합한 pH, 온도, Km치는 각각 5.0, 55°C, 1.293g/L이다. 이온 농도가 1.0×10 - 3 mol/L일 때, 금속이온 Cu 2+ , Hg 2+ , Ag + 는 효소활성에 대해 강한 억제작용을 하였으며, 키토산나아제는 다른 기질 및 탈아세틸화 정도(deacetylated degree)의 키토산에 대해 다른 분해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결론】 선별하여 얻은 키토산나아제의 생성 진균균주 KQ-1002의 키토산나아제 활성은 최적화 후 약 7배로 향상되었으며, 연구와 활용 잠재력이 있는 키토산나아제 생성균주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59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hitosanase,26S rDNA,Fermentation conditions,Enzymatic properties,키토산나아제,26S rDNA 감정,효소 생산 조건,효소학적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