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황허(Huanghe River) 삼각주 베이커티다오(Beiketi island)의 조가비 모래를 기질로 하고 해당 섬에서 성장한 지배적 초본 식물 Limonium bicolor(Bge.) Kuntze 유묘를 재료로 한 후, 각각 다른 농도의 NaCl 용액(0, 50, 100, 200, 300mmol/L)으로 30일 동안 염분 스트레스로 시뮬레이션하여 Limonium bicolor(Bge.) Kuntze의 광합성 생리 및 생화학적 특성이 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응답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Limonium bicolor(Bge.) Kuntze은 염분 스트레스와 광합성 유효 복사량(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에 대하여 비교적 강한 적응 능력이 있었다. 또 염분 농도가 50~100mmol/L인 조건에서 그 순수 광합성 속도(net photosynthesis rate, Pn), 즉석 물 사용 효율(instantaneous water use efficiency, WUE), 외견상 광 에너지 사용 효율(apparent light use efficiency, LUE), 카르복실화 효율(carboxylation efficiency, CE), 광 포화점(light saturation point, LSP)과 겉보기 양자수율(apparent quantum yield, AQY)는 모두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광 보상점(light compensation point, LCP)는 가장 낮았는데 이는 해당 염분 농도 범위에서 이용한 광 에너지가 비교적 강하였으며 광 생태폭(Light ecological amplitude)이 가장 넓었다. 염분 농도가 300mmol/L일 때, 그 Pn, WUE, LUE, CE, LSP와 AQY는 모두 뚜렷이 감소하였으며 LCP가 증가하였다. 또 Pn, Tr, Gs, WUE, LUE, CE가 PAR에 대한 응답 곡선은 대조군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고염분 스트레스는 빛에 대한 Limonium bicolor(Bge.) Kuntze의 민감성을 증가하였다. 또 WUE, LUE, CE의 최적화된 PAR과 염분 범위는 일정한 차이가 있었으며 저 PAR 조건은 광 에너지의 이용에 유리하였고, 중간 PAR 조건은 수분의 이용에 유리하였으며 고 PAR 조건은 이산화탄소의 이용에 유리하였다. 그리고 WUE가 염분에 대한 적응 범위가 가장 컸고 CE가 그 다음이었으며 LUE가 가장 작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