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distribution of nitrogen form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total phytoplankon in the Huanghai Sea and the East China Sea continental shelf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學報 = Acta oceanologica sinica
ISSN 0253-419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Xiaoyong,SUN, Yao,SHI, Xiaoyong,YANG, Qian,HUANG, Jiansheng,WANG, Did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분급 추출 분리법(sequential extraction separation method)을 이용하여 황해 및 동중국해 대륙붕 침전물 질소을 교환 형태 질소와 교환 불능 형태 질소로 나누었고 교환 형태 질소를 이온 교환 형태 질소(IEF-N), 탄산염 결합형태 질소(CF-N), 철 망간 산화 형태 질소(IMOF-N) 및 유기적 형태와 황화물 결합 형태 질소(OSF-N) 등 4개 형태로 나눌수 있다. 각 형태 질소의 평면, 수직 및 침강층 단면(sediment profile)의 년간 분포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 해역 질소 형태와 고 생산력의 대체 지표-생물기원인 규소(biogenic silica)의 상관성을 추가적으로 연구 논의하였으며 질소 형태의 지구 화학적 특성과 부유식물 총량과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황해 및 동중국해 대륙붕 표층 침전물중 교환 형태 질소가 차지하는 총량 백분비가 16.81%였으며 교환 가능 형태 질소중 4개 형태 질소의 평균함량은 IMOF-N (66.65 mu;g/g) gt; IEF-N (22.96 mu;g/g) gt; OSF-N (17.40 mu;g/g) gt; CF-N (11.26 mu;g/g) 였으며 그 중 IMOF-N는 교환 가능 형태 질소의 우세형태였다. 주상(columnar) 침전물중 각 형태 질소의 수직 분포 특성이 다양하였으며 양자강 하구 침전물중 각 형태 질소 수직 변화 폭도가 남중국해 중부보다 컸다. 이온 교환 형태 질소 IEF-N 및 철 망간 산화 형태 질소 IMOF-N가 부유식물 총량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컸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219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uanghai Sea and East China Sea continental shelf,sediment,nirogen forms,total phytoplankton,biogenic silica,황해 및 동중국해 대륙붕,침전물,질소 형태,생물기원규소,부유식물 총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