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온도, 빛의 세기 및 수분 등 배양 조건이 조절 가능한 폐쇄형 배양실에서 옥수수 유묘(seedling)를 배양하여 그 광합성 작용 지표와 배양실 공기 중의 히드록실라디칼(hydroxyl radical, ·OH)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빛의 세기가 비교적 약한 조건에서, 옥수수 유묘 잎몸의 순 광합성 속도(P n ), 최대 광화학 양자 생산량(F v /F m ), PSⅡ실제 광화학 양자 생산량( Phi; PS Ⅱ ), 광화학적 억제 계수(q P )는 모두 빛의 세기가 강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빛의 세기가 일정한 정도로 강해졌을 때 P n , F v /F m , Phi; PS Ⅱ 와 q P 는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빛의 세기가 강한 조건에서 옥수수 유묘는 일정한 정도의 광저해(photoinhibition)를 받았다. 정상적인 생장 조건이거나 저온 혹은 삼투압 스트레스를 받는 조건에서, 옥수수 유묘가 생장하는 배양실 공기 중의 ·OH 수준은 모두 식물이 생장하지 않는 대조 배양실보다 뚜렷이 높았다. 빛의 세기가 광저해를 초래할 정도까지 되지 않을 때 배양실 내의 빛의 세기 변화에 따른 ·OH 수준은 뚜렷하지 않았으며; 빛의 세기가 광저해를 초래할 수 있는 정도로 되었을 때 공기 중의 ·OH 수준은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광저해 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그 수준 역시 증가하였다. 상관성 분석 결과, 빛의 세기가 비교적 약한 조건에서 ·OH 수준과 옥수수 유묘의 각 광합성 지표는 뚜렷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광저해 조건에서 공기 중 ·OH 수준은 광저해 정도와 밀접히 연관이 있었으며, 비광화학적 억제 계수 q N 값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해당 연구 결과는 식물의 생장 환경이 환경 중 ·OH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는 데 근거를 제공하고, 광저해를 받는 조건에 처하여 있는 옥수수 유묘가 공기 중 ·OH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정상적인 광합성 상태에 처하여 있는 유묘가 ·OH 수준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뚜렷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