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GCs on BDNF signal pathway in the development of stress-induced depression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命科學 = Chinese bulletin of Life sciences |
ISSN | 1004-0374, |
ISBN |
저자(한글) | MA, Xue-ping,CHEN, Hui-bin,AN, Shu-che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뇌 유도 신경 영양 인자(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는 핵심적인 신경 영양 인자로서, 시냅스(Synapse)의 형성과 복원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시냅스 전과 후의 메커니즘을 통해 시냅스 전달(synaptic transmission) 효능을 변화시킴으로써, 신경 구조와 기능의 가소성(Plasticity) 발휘에 대한 조절 작용을 발휘한다. BDNF는 주로 TrkB수용체와의 결합을 통해 세포내의 신호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자신의 생물학적 효과를 발휘한다. 연구 결과, 중추신경계통 BDNF발현 또는 기능의 변화는 우울증의 발생과 연관되어 있으며, 스트레스로 인한 글루코코티코이드(glucocorticoid, GC)의 증가 역시 우울증 발생의 중요한 원인중 하나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GCs의 증가도 BDNF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GCs는 BDNF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한편, GCs수용체인 GR와 BNDF수용체인 TrkB는 상호 작용한다. GCs의 과잉공급은 BDNF신호를 교란시켜, BDNF의 기능에 영향을 주어, 우울증 환자의 뇌 내에서 특히 해마체(hippocampal formation)의 손상을 초래한다. 본 논문은 우울증 진행중 글루코코티코이드가 BDNF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현황에 대해 소개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783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glucocorticoid,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GC receptor,TrkB receptor,phospholipase Cγ,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글루코코티코이드,뇌 유도 신경 영양 인자,GC 수용체,TrkB 수용체,포스포리파아제Cγ,미토겐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세포 외 신호 조절 키나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