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 of pulse magnetic field on distribution of neuronal action potential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理學報 = Acta physiologica Sinica
ISSN 0371-08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ENG, Yu,CAI, Di,WANG, Jin-hai,LI, Gang,LIN, L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자기장( magnetic field )이 생물체에 작용하여 형성한 생물학적 효과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펄스 자기장을 신경원 세포에 작용하게 하여 Na + 통로의 변화 및 그것이 일으킨 활동 전위(action potential) 변화에 대한 관찰을 시도하였다. 빈도가 15Hz, 강도가 1mT인 펄스 자기장을 선택하여 쿤밍 생쥐(Kunming mice)의 대뇌 피질 신경원을 자극한 다음 전세포 패치 클램프(whole-cell patch clamp)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펄스 자기장은 Na + 통로 전류의 활성화를 지연시키고 Na + 통로 전류의 비활성화를 촉진하였다. 고전적인 세포 3층 유전체 모델(cell three-layer dielectric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펄스 자기장에서의 세포막 전위 분포 분극도(polarization diagram)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유발된 세포막 전위의 크기는 펄스 자기장의 빈도, 강도와 관련되었다. Hodgkin-Huxley(H-H)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펄스 자기장의 유도 전류가 이온 통로에 작용하고 형성한 활동 전위 곡선을 시뮬레이션하였다. 그리고 자극을 추가하지 않는 곡선에 비하여 외부 전류가 -1.320μA일 때 활동 전위 발생 빈도는 낮아지고 진폭은 감소하였다. 외부 전류가 0μA보다 클 때 활동 전위 발생 빈도는 증가하고 진폭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외부 전류가 -1.320μA보다 작을 때 활동 전위의 상승 시간은 빠르게 줄어들고 진폭은 많이 떨어졌으며 완전한 활동 전위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즉, 활동 전위가 없었다. 위의 결과는 자기장 자극이 Na + 통로를 조절하여 신경원 활동 전위의 방출 빈도와 진폭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제시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1217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ransmembrane potential,action potential,sodium ion channel,distribution characteristics,막관통 전위,활동 전위,Na lt,sup gt,+ lt,/sup gt,통로,방출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