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ENG, Gu-Qing,CHENG, Ai-Lan,YI, Hong,LI, Mao-Yu,LI, Guo-Qing,LI, Jian-Ling,LIAO, Li |
초록 |
기도 상피 발암 현상(human bronchial epithelial carcinogenesis)에서의 차등 발현 유전자를 분석하기 위해, 폐 편평세포암(lung squamous cell cancer, LSCC) 초기 진단 마커를 선택하고, 인간 기도 상피 발암 현상의 여러 단계 조직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레이저 미세절개법(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LCM)으로 인간의 기도 상피조직, 편평상피화생(squamous metaplasia), 비정형 세포증식(atypical hyperplasia), 상피내암(cancer in situ), 삼출성 LSCC 조직을 순화하고, iTRAQ(isobaric tags for relative and absolute quantitation)기술과 2차원 액체 크로마코그래피와 질량분석법((2D LC-MS/MS)을 결합하여, 기도 상피 발암 현상의 발전 과정과 여러 단계에서의 차등 발현 유전자를 감정하였다. 감정 결과, 총 1,036개 단백질을 감정하였고, 인간 기도 상피 발암 현상과 관련된 차등 발현 단백질 102개를 선별해냈다. 이상의 차이 발현 단백질에서 일부 단백질은 기도 상피 발암 현상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일부 단백질은 점진적으로 하강하며, 또 일부 단백질은 단계별 변화를 보인다. 기능 분석 결과, 이상의 차등 단백질은 대사, 세포 고사, 증식, 분화, 신호 전달, 번역, 세포점착, 면역 반응 및 발육 등과 연결되어 있다. Western blotting 및 면역 조직화학적 기법으로 2개의 차등 단백질(S100A9과 CKB) 발현을 검증하였으며, 정량 단백질체학 결과의 안정성을 증명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차등 발현 단백질은 기도 상피 발암 현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폐 편평세포암의 초기 진단 마커가 될 수 있다. 차등 단백질의 생물학적 기능을 한층 더 연구하는 것은 기도 상피 발암 현상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유리하고, 폐 편평세포암의 초기 진단과 발병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