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oteomic analysis of Bacillus subtilis 168 transforming cis-propenylphosphonic acid to fosfomyci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ISSN 1000-306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ie, Fuhong,Chao, Yapeng,Shi, Jiaji,Zhang, Guoqing,Yang, Jing,Qian, Shij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단백체 분석(proteomic analysis) 방법으로 고초균(Bacillus subtilis strain 168, B.subtilis 168)이 cis-propenylphosphonic acid을 포스포마이신(fosfomycin)으로 전환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B.subtilis168은 cis-propenylphosphonic acid을 포스포마이신으로 비대칭 전환한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전환한 배양기 발효액 내 포스포마이신의 함량은 816.6 mu;g/mL이고, 전환율은 36.05%이다. 기질을 포함한 것과 기질을 포함하지 않은 배양기에서 각각 배양한 B. subtilis 168의 세포질 단백질로 2차원 겔 전기 영동 분석(two 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을 진행하였다. 두가지 조건에서의 전기 이동도(electrophoretogram)를 비교한 결과, 총 98개의 차이 발현 단백질을 발견하였다. 그 중 기질이 있는 조건에서 20개 단백질의 발현량이 줄어들고 52개 단백질의 발현량은 높아지며 기질 특이성 발현한 단백질이 26개이다. 차이 발현 단백질을 질량 분석하여 총 80개의 단백질 스팟을 감정해냈다. 그 중 감소된 스팟이 17개, 상승한 스팟이 45개, 기질 특이성 발현한 스팟이 18개이다. 상술한 단백질은 각각 스트레스 반응, 산화 환원 반응, 물질 수송, 뉴클레오티드 물질 대사(nucleotide metabolism), 당대사, 아미노산과 단백질 대사 등 과정에 참여하다. 본 논문에서 보여준 B.subtilis 168 단백질체학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균주는 두가지 과정을 거쳐 cis-propenylphosphonic acid을 포스포마이신으로 전환한다는것을 추측하였다. 첫번째 과정은 수화반응(hydration reaction)이고, 두번째 과정은 탈수소반응 과정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71890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acillus subtilis strain 168,cis-propenylphosphonic acid,fosfomycin,transformation,proteomic analysis,고초균,cis-propenylphosphonic acid,포스포마이신,전환,단백체 분석